자업자득 (自業自得)
 
           自  스스로 자    業  일 업    自  스스로 자    得  얻을 득    자신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스스로 받는다는 뜻으로, 나쁜 행동이 결국 자신에게 나쁜 결과로 돌아오는 상황 을 말해요.   ···            自業自得  자업자득   자기가 지은 업을 자기가 얻는다    풀이  내가 한 행동의 결과는 결국 나에게 돌아온다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시험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고 놀기만 해서 시험을 망쳤을 때, 또는 채소를 안 먹고 사탕만 먹어서 배가 아플 때처럼, 내 행동 때문에 안 좋은 결과가 생겼을 때 쓸 수 있는 말이에요. '뿌린 대로 거둔다'는 속담과 비슷하죠?    배경/유래  이 말은 불교에서 비롯되었어요. 불교에서는 '업(業)'이라는 것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업'이란 우리가 하는 모든 생각과 말, 행동을 뜻해요. 좋은 업을 쌓으면 좋은 결과(복)를 받고, 나쁜 업을 쌓으면 나쁜 결과(벌)를 받는다고 믿었죠. '자업자득'은 바로 이 가르침에서 나온 말로,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자기 자신의 행동이 그 결과를 만든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어요.  마치 부메랑을 던지면 결국 나에게 다시 돌아오는 것처럼, 우리의 행동도 언젠가는 꼭 우리에게 돌아온다는 것을 기억해야 해요. 그래서 항상 바르고 착하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메모: 나의 행동이 미래의 나를 만든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좋은 결과를 얻고 싶다면 먼저 좋은 행동을 해야 해요.   예문  맨날 늦잠 자서 학교에 지각하더니, 결국 벌점을 받은 것은 자업자득 이다.  친구를 놀리고 괴롭히다가 아무도 같이 놀아주지 않게 된 것은 자업자득 이야.  평소에 운동은 안 하고 군것질만 하다가 살이 찐 것은 자업자득 이라고 할 수 있다.   한자: 自(스스로 자) 業(일 업) 自(스스로 자) 得(얻을 득) 주제: 책임 · 결과  출처/참고: 국어사전, 정법염처경(正法念處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