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권선징악인 게시물 표시

[초등 사자성어] 사필귀정(事必歸正)의 뜻, 정의는 반드시 승리해요! (쉬운 유래와 예문)

이미지
事 일 사 必 반드시 필 歸 돌아갈 귀 正 바를 정 무슨 일이든 결국에는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지금 당장은 잘못된 일이 이기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에는 정의가 승리한다 는 의미예요. ··· ··· 事必歸正 사필귀정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간다 풀이 처음에는 나쁜 일이 잘 풀리는 것처럼 보이거나, 착한 사람이 억울한 일을 당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사필귀정'은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세상의 모든 일은 결국 올바른 방향으로 제자리를 찾아간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어요. 거짓말이나 속임수는 언젠가 들통나고, 정의롭고 올바른 것이 결국에는 이긴다는 뜻이에요. 배경/유래 '사필귀정'은 특정한 한 사람의 이야기에서 나온 말은 아니에요. 옛날부터 많은 사람들이 살면서 옳고 그름이 항상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을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말이랍니다. 예를 들어, 힘이 센 사람이 약한 친구를 괴롭히면 당장은 힘센 사람이 이기는 것 같지만, 결국 선생님께 알려지거나 다른 친구들이 힘을 합쳐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게 되지요. 이런 경험들이 모여 '모든 일은 결국 바른길로 돌아온다'는 '사필귀정'이라는 지혜로운 말이 탄생하게 된 거예요. 동화 '흥부와 놀부'에서 욕심쟁이 놀부는 벌을 받고 착한 흥부는 복을 받는 것처럼, 세상의 이치가 결국 바른 쪽으로 흐른다는 것을 보여주는 말이에요. 메모: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잘못된 상황을 보더라도 희망을 잃지 말고, 올바른 길을 꾸준히 가는 것이 중요해요. 예문 거짓말로 친구를 속인 사실이 결국 밝혀졌으니, 역시 사필귀정 이다. 악당이 결국 벌을 받는 영화의 결말은 사필귀정 의 교훈을 보여준다. 오랜 재판 끝에 억울한 누명을 벗은 그를 보며 사람들은 사필귀정 이라고 말했다. 한자: 事(일 사) 必(반드시 필) 歸(돌아갈 귀) 正(바를...

인과응보 (因果應報)

이미지
因 인할 인 果 열매 과 應 응할 응 報 갚을 보 원인과 결과에는 그에 합당한 갚음이 있다는 뜻으로, 좋은 일을 하면 좋은 결과가, 나쁜 일을 하면 나쁜 벌이 따른다 는 의미예요. ··· ··· 因果應報 인과응보 원인과 결과는 서로 응답한다 풀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이 나는 것처럼 모든 일에는 원인이 있고 그에 따른 결과가 반드시 있다는 뜻이에요. 즉, 착한 일을 한 사람에게는 복이 찾아오고, 다른 사람을 괴롭히거나 나쁜 짓을 한 사람에게는 벌이 내려진다는 말이죠. 배경/유래 '인과응보'는 불교에서 온 말이에요. 불교에서는 '업(業)'이라는 것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업'은 우리가 하는 생각과 말, 행동을 모두 가리켜요. 좋은 업을 쌓으면 다음 생에 좋은 모습으로 태어나거나 복을 받고, 나쁜 업을 쌓으면 그 반대가 된다고 믿었죠. 이처럼 원인에 따라 결과가 정해진다는 생각이 바로 '인과응보'랍니다. 흥부와 놀부 이야기 알죠? 착한 흥부는 제비 다리를 고쳐주어 복을 받았고, 욕심쟁이 놀부는 제비 다리를 일부러 부러뜨려 벌을 받았어요. 이게 바로 인과응보의 가장 쉬운 예라고 할 수 있어요. 메모: 나의 작은 행동 하나하나가 나비효과처럼 큰 결과로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항상 바르게 행동해야 해요. 예문 친구를 괴롭히던 아이가 결국 자기도 똑같이 당하는 것을 보니 인과응보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쁜 짓을 하고도 벌을 받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면 안 돼, 세상은 인과응보 야. 할머니께서는 늘 인과응보 를 믿으시며 어려운 사람을 도우셨다. 한자: 因(인할 인) 果(열매 과) 應(응할 응) 報(갚을 보) 주제: 교훈 · 권선징악 출처/참고: 국어사전, 위키백과

권성징악 (勸善懲惡)

이미지
勸 권할 권 善 착할 선 懲 징계할 징 惡 악할 악 전래동화 '흥부와 놀부'처럼, 착한 사람은 복을 받고 나쁜 사람은 벌을 받는다 는 뜻이에요. 만화나 영화에서도 많이 나오는 이야기의 중요한 주제랍니다. ··· 勸善懲惡 권선징악 착한 일을 권하고, 나쁜 일을 벌준다 풀이 착한 행동은 칭찬하고 상을 주고, 나쁜 행동은 벌을 주어 바로잡는다는 의미입니다. 정의가 승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가치입니다. 배경/유래 이 성어는 오랜 옛날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들의 가장 중요한 주제였어요.          동화나 전설 속에는 항상 착한 주인공과 나쁜 악당이 나오는데,          결말에는 착한 주인공이 어려움을 이겨내고 행복을 찾고, 나쁜 악당은 결국 벌을 받게 되지요.          이는 세상의 모든 이야기가 '정의가 반드시 승리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특히 '흥부와 놀부', '콩쥐팥쥐'와 같은 우리나라의 많은 전래동화가 바로 이 '권선징악'의 교훈을 담고 있어요.          우리 조상들은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에게 착하게 살아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답니다. 메모: 착한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돕고, 바르게 행동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하게 해줘요. 예문 이 동화는 마지막에 주인공이 행복해지고 나쁜 마녀가 벌을 받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