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좌우명인 게시물 표시

금과옥조(金科玉條) 뜻, 보물처럼 지켜야 할 나의 원칙 | 초등학생 필독 고사성어

이미지
金 쇠 금 科 과목 과 玉 구슬 옥 條 조목 조 금이나 옥처럼 아주 소중하게 여겨서 꼭 지켜야 하는 규칙이나 법률을 말해요. 절대로 어겨서는 안 되는 가장 중요한 약속 과 같아요. ··· ··· 金科玉條 금과옥조 금과 옥 같은 법규나 규정 풀이 '금과옥조'는 '금(金)으로 만든 법'과 '옥(玉)으로 만든 조항'이라는 뜻이에요. 금과 옥은 아주 귀한 보물이죠? 이처럼 보물처럼 소중하게 생각해서 꼭 지켜야 하는, 아주 중요한 규칙이나 약속을 가리키는 말이랍니다. 절대로 바꾸거나 어길 수 없는 중요한 원칙을 말할 때 사용해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 한나라에 양웅이라는 학자가 있었어요. 그는 옛 성인들이 만든 법과 제도가 아주 훌륭해서 백성들이 평화롭게 살 수 있었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훌륭한 법들을 "금과옥조"라고 표현했답니다. 금과 옥처럼 귀하고 완벽해서 영원히 지켜야 할 가치가 있다고 칭찬한 것이죠. 이로부터 '금과옥조'는 아주 소중히 여겨 반드시 지켜야 할 규범이나 교훈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어요. 우리에게도 '금과옥조'처럼 여기는 약속들이 있어요. '어른들께는 존댓말을 쓴다'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같은 것들이죠. 이런 소중한 약속들이 모여서 우리 사회를 더 아름답게 만든답니다. 메모: 나만의 '금과옥조'를 정해보세요. '하루에 한 번은 꼭 부모님을 웃게 해드리기' 같은 멋진 규칙도 좋아요! 예문 할머니의 "정직이 최고의 재산이다."라는 말씀은 우리 집안의 금과옥조 다. 그는 스승님의 가르침을 금과옥조 로 여기고 평생 마음에 새겼다. '안전 수칙을 반드시 지킨다'는 규칙은 우리 모두의 금과옥조 가 되어야 한다. 한자: 金(쇠...

군자불기(君子不器) 뜻, 한 가지 틀에 갇히지 않는 리더의 조건 | 초등학생 눈높이 고사성어 풀이

이미지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不 아닐 불 器 그릇 기 훌륭한 사람은 한 가지 용도로만 쓰이는 그릇과 같지 않다는 뜻으로, 다양한 재능과 넓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되어야 한다 는 의미예요. ··· ··· 君子不器 군자불기 군자는 그릇이 아니다 풀이 여기서 '그릇(器)'은 한 가지 쓰임새만 있는 도구를 뜻해요. 예를 들어 망치는 못을 박는 데만 쓰이죠. '군자불기'는 훌륭한 사람, 즉 '군자(君子)'는 망치처럼 한 가지 일만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여러 가지를 두루두루 잘하고 생각의 폭이 넓은 사람이라는 의미예요. 다방면에 재능이 있고 어떤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깊은 뜻을 담고 있어요. 배경/유래 아주 오래전 중국의 위대한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말씀에서 유래했어요. 공자는 제자들에게 "군자는 그릇과 같아서는 안 된다(君子不器)"라고 가르쳤어요. 당시에는 각자 맡은 한 가지 기술만 연마하는 전문가들이 많았는데, 공자는 진정한 리더와 교양인은 한 분야에만 갇히지 않고, 다양한 학문을 익히고 폭넓은 경험을 통해 인격을 완성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어떤 한 가지 용도로만 쓰이는 그릇이 되지 말라고 강조하신 거랍니다. 스마트폰이 전화만 되는 게 아니라 사진도 찍고, 길도 찾아주고, 음악도 들려주는 것처럼, 우리도 한 가지만 잘하기보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여러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해요. 메모: 한 우물만 파는 전문가도 훌륭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배우는 자세가 더 큰 사람으로 성장하는 길이에요. 예문 여러 분야의 책을 골고루 읽으며 군자불기 의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리더는 한 가지 능력만 뛰어나서는 안 되며, 군자불기 의 자세로 모든 것을 아우를 줄 알아야 한다. 그는 과학자이면서도 예술에 조예가 깊어 군자불기 형 인재로 불린다. 한자: 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