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학문인 게시물 표시

[오늘의 사자성어] 격물치지(格物致知), 진짜 공부는 '왜?'라는 질문에서 시작돼요! (초등 눈높이 설명)

이미지
格 격식 격 物 만물 물 致 이를 치 知 알 지 세상 모든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들어 참된 앎에 이른다는 뜻으로, 사물의 본질을 깊이 연구하여 지식을 완성한다 는 의미예요. ··· ··· 格物致知 격물치지 사물의 이치를 파고들어 지식을 넓힌다 풀이 ‘격물(格物)’은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든다는 뜻이고, ‘치지(致知)’는 앎을 완성한다는 뜻이에요. 즉, 그냥 겉모습만 보고 ‘아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는 게 아니라, ‘왜 그럴까?’ 하고 호기심을 갖고 깊이 탐구해서 ‘아하!’ 하고 진짜 원리를 깨닫게 되는 것을 말해요. 과학자들이 실험하고 관찰하는 것이 바로 격물치지랍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대학(大學)'이라는 책에 나오는 말이에요. 이 책에서는 세상을 바로잡는 큰 뜻을 이루려면 먼저 자기 자신부터 훌륭하게 닦아야 한다고 가르쳤어요. 그리고 그 시작이 바로 '격물치지'라고 했답니다. 세상 모든 것에는 각자의 이치와 원리가 있는데, 그것을 하나하나 깊이 파고들어 알아갈 때 비로소 우리의 앎이 완전해지고 마음도 바르게 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거예요. 예를 들어, 씨앗이 어떻게 싹을 틔우고 자라나 열매를 맺는지 꾸준히 관찰하고 연구하면 식물의 신비한 원리를 깨닫게 되는 것처럼 말이죠. 이렇게 얻은 진짜 지식이야말로 세상을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된답니다. 메모: 호기심을 갖고 '왜?'라는 질문을 던지며 끝까지 탐구하는 자세가 진정한 배움의 시작이에요. 예문 위대한 과학자들은 격물치지 의 정신으로 세상을 바꿀 놀라운 발명을 해냈다. 그는 식물의 이름을 외우는 데 그치지 않고, 격물치지 의 자세로 식물이 자라는 과정을 깊이 연구했다. 문제의 정답만 맞히려 하지 말고 격물치지 하며 그 원리를 깨치는 것이 중요해. 한자: 格(격식 격) 物(만물 물) 致(이를 치) 知(알 지) 주제: 학문 · 탐구 출처...

박학다식(博學多識)

이미지
博 넓을 박 學 배울 학 多 많을 다 識 알 식 넓게 배우고 많이 아는 것처럼, 다양한 분야에 대해 아는 것이 많고 지식이 풍부하다 는 뜻이에요. ··· ··· 博學多識 박학다식 널리 배우고 많이 안다 풀이 여러 가지 책을 많이 읽거나 다양한 경험을 해서 세상의 많은 것에 대해 깊이 알고 있다는 의미예요. 마치 걸어 다니는 백과사전처럼 무엇이든 물어보면 척척 대답해주는 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이죠. 배경/유래 '박학다식'이라는 말은 특별한 한 사람의 이야기에서 나온 것은 아니에요. 옛날부터 학문, 즉 공부를 중요하게 생각했던 문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말이랍니다. 공자님과 같은 위대한 학자들은 제자들에게 항상 "넓게 배우고(博學), 배운 것에 대해 자세히 묻고(審問), 신중하게 생각하고(愼思), 명확하게 분별하고(明辨), 성실하게 실천하라(篤行)"고 가르쳤어요. 이처럼 여러 분야를 깊이 있게 공부해서 지식이 풍부해지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답니다. '박학다식'은 바로 이러한 가르침에서 비롯된 말이라고 할 수 있어요. 여러분도 책을 편식하지 않고 여러 종류의 책을 골고루 읽고, 궁금한 것이 생기면 그냥 넘어가지 않고 찾아보는 습관을 기른다면 '박학다식'한 어린이가 될 수 있을 거예요. 메모: 한 분야만 파고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호기심을 갖고 알아가는 자세가 세상을 더 넓게 볼 수 있게 해줘요. 예문 우리 할아버지는 박학다식 하셔서 어떤 질문을 드려도 막힘없이 대답해 주신다. 그는 역사, 과학, 예술 등 모든 분야에 박학다식 해서 '걸어 다니는 백과사전'으로 불린다. 꾸준한 독서 습관은 우리를 박학다식 한 사람으로 만들어 준다. 한자: 博(넓을 박) 學(배울 학) 多(많을 다) 識(알 식) 주제: 지식 · 학문 출처/참고: 국어사전,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