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학습인 게시물 표시

[초등 사자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溫 따뜻할 온 故 옛 고 知 알 지 新 새 신 옛것을 충분히 배우고 익혀서,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안다는 뜻이에요. 과거의 지혜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만들어간다 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 ··· 溫故知新 온고지신 옛것을 익혀 새것을 알다 풀이 옛날의 지식이나 경험을 다시 공부하고 깊이 생각해서, 오늘날에 맞는 새로운 지식이나 방법을 찾아내는 것을 말해요. 단순히 옛날 것을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바탕으로 더 발전된 생각을 해내는 것이 중요해요. 배경/유래 아주 오래전 중국의 위대한 사상가인 공자님이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에서 유래했어요. 공자님은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면 다른 사람의 스승이 될 수 있다(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고 말씀하셨어요. 이 말은 옛 학문을 열심히 공부해서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든 후에,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이치를 깨달아야 비로소 다른 사람을 가르칠 수 있다는 뜻이에요. 옛날 사람들이 남긴 책을 읽고 그들의 지혜를 배우는 것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이야기랍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옛날이야기를 읽고 그 속에서 교훈을 얻어 오늘날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배우는 것도 '온고지신'이라고 할 수 있어요. 메모: 역사를 공부하고 위인들의 삶을 배우는 것은 미래를 더 지혜롭게 살아가는 데 큰 도움이 돼요. 예문 할머니의 옛날 요리법에 요즘 유행하는 재료를 더했더니 정말 맛있는 음식이 탄생했어. 이게 바로 온고지신 의 지혜가 아닐까? 박물관에 가서 옛날 물건들을 살펴보는 것은 온고지신 의 자세를 배우는 좋은 방법이다. 새로운 로봇을 만들기 위해 예전의 과학 기술을 다시 공부하며 온고지신 의 교훈을 깨달았다. 한자: 溫(따뜻할 온) 故(옛 고) 知(알 지) 新(새 신) 주제: 배움 · 지혜 출처/참고: 국어사전, ...

형설지공(螢雪之功)

이미지
螢 반딧불 형 雪 눈 설 之 갈 지 功 공 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환경을 이겨내고 열심히 공부하여 얻은 성공 을 의미해요. ··· ··· 螢雪之功 형설지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성공 풀이 '형(螢)'은 반딧불, '설(雪)'은 눈을 뜻해요. 그리고 '지공(之功)'은 '그것으로 이룬 공'이라는 뜻이죠. 즉, '형설지공'은 반딧불과 눈의 빛에 의지해 공부하며 이룬 공로라는 의미로,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면 마침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교훈을 주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형설지공'은 두 사람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어요. 첫 번째는 중국 진나라의 '차윤'이라는 사람 이야기예요. 그는 너무 가난해서 밤에 책을 밝힐 등불의 기름을 살 돈이 없었어요. 하지만 공부를 포기할 수 없었던 차윤은 여름밤마다 수십 마리의 반딧불이를 잡아 주머니에 넣고, 그 희미한 빛으로 책을 읽었답니다. 두 번째는 '손강'이라는 사람 이야기예요. 그 역시 매우 가난해서 등불을 켤 수 없었어요. 손강은 추운 겨울밤, 창가에 쌓인 하얀 눈이 달빛에 반사되어 밝게 빛나는 것을 이용해 책을 읽었어요. 훗날 사람들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배움을 멈추지 않았던 두 사람의 노력을 기리기 위해 그들의 이야기를 합쳐 '형설지공'이라는 말을 만들었답니다. 두 사람 모두 나중에 큰 학자가 되었어요! 메모: 환경이 어렵다고 꿈을 포기해서는 안 돼요. 굳은 의지만 있다면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어요. 예문 그는 형설지공 의 노력 끝에 마침내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다. 위인전에는 형설지공 으로 어려움을 이겨내고 훌륭한 사람이 된 이야기가 많다. 할머니께서는 형설지공 으로 배운 지식은 절대 잊히지 않는다고 말씀하셨...

죽마고우 (竹馬故友)

이미지
竹 대 죽 馬 말 마 故 옛 고 友 벗 우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옛 친구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아주 친한 친구 를 의미해요. ··· ··· 竹馬故友 죽마고우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옛 친구 풀이 '죽마(竹馬)'는 대나무로 만든 말을 뜻해요. 옛날 아이들은 장난감으로 대나무 막대를 말처럼 타고 놀았어요. '고우(故友)'는 오랜 친구라는 뜻이고요. 즉, 어릴 적에 대나무 말을 함께 타고 놀았던 친구라는 의미로, 아주 오랫동안 모든 것을 터놓고 지내는 소중한 친구를 가리키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 진나라에 환온과 은호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그들은 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아주 친한 친구였죠. 하지만 어른이 되어서는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 때문에 사이가 멀어졌어요. 어느 날, 권력을 잡은 환온이 은호를 시기하여 그를 먼 곳으로 귀양 보냈어요. 그러고도 마음이 안 풀린 환온은 은호를 더욱 창피하게 만들고 싶었어요. 그는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은호가 어릴 때 타고 놀던 낡은 대나무 말을 보여주며 "이게 네가 타던 대나무 말이다!"라고 놀렸죠. 하지만 은호는 그것을 보고 옛 친구와 함께했던 즐거운 추억이 떠올라 눈물을 흘렸다고 해요. 이 이야기에서 '죽마고우'는 어릴 적 순수한 우정을 상징하는 말이 되었답니다. 메모: 어른이 되어 다투더라도 어릴 적 추억을 함께한 친구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물이에요. 예문 나와 민준이는 유치원 때부터 함께한 죽마고우 라서 비밀이 없어. 할아버지께서는 명절마다 죽마고우 분들을 만나러 고향에 가신다. 우리는 서로를 가장 잘 아는 죽마고우 같은 사이이다. 한자: 竹(대 죽) 馬(말 마) 故(옛 고) 友(벗 우) 주제: 우정 · 친구 출처/참고: 국어사전, 진서(晉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