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부법인 게시물 표시

[똑똑이 사자성어] 문일지십(聞一知十),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고?

이미지
聞 들을 문 一 하나 일 知 알 지 十 열 십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뜻으로, 아주 조금만 배워도 전체를 깨달을 만큼 매우 똑똑하고 총명하다 는 의미예요. ··· ··· 聞一知十 문일지십 하나를 듣고 열을 안다 풀이 하나만 살짝 알려줘도 그와 관련된 열 가지를 스스로 알아챌 만큼 이해력이 뛰어나고 지혜로운 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이에요. 마치 작은 힌트 하나로 전체 그림을 맞추는 명탐정처럼, 배움이 아주 빠른 사람을 의미하죠.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위대한 스승 공자에게는 제자들이 아주 많았어요. 그중에는 말재주가 뛰어난 '자공'과, 조용하지만 학문이 깊고 매우 총명한 '안회'라는 제자가 있었죠. 어느 날 공자가 자공에게 물었어요. "너와 안회 중에 누가 더 뛰어나다고 생각하느냐?" 그러자 자공은 망설임 없이 대답했어요. "제가 어찌 안회를 따라가겠습니까?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깨우치지만(문일지십), 저는 하나를 들으면 겨우 둘을 알 뿐입니다." 이 대답을 들은 공자는 "그래, 너와 나 모두 그에게 미치지 못한다."라며 안회의 뛰어남을 인정했답니다. 이 이야기에서 '문일지십'이라는 말이 생겨나, 아주 지혜롭고 총명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어요.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것에서 더 나아가 '왜 그럴까?' 하고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것저것 응용해보는 친구들이 바로 '문일지십'하는 어린이들이랍니다. 메모: 배운 것을 바탕으로 새롭게 생각하고 질문하는 습관을 기르면 누구나 '문일지십'하는 똑똑이가 될 수 있어요. 예문 그 친구는 정말 문일지십 하는 아이라서, 수학 공식 하나를 배우면 어려운 문제도 척척 풀어낸다. 동생은 요리에 재능이 있는지, 요리법을 한번 쓱 보고 나더니 문일지십 하여 ...

[오늘의 사자성어] 격물치지(格物致知), 진짜 공부는 '왜?'라는 질문에서 시작돼요! (초등 눈높이 설명)

이미지
格 격식 격 物 만물 물 致 이를 치 知 알 지 세상 모든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들어 참된 앎에 이른다는 뜻으로, 사물의 본질을 깊이 연구하여 지식을 완성한다 는 의미예요. ··· ··· 格物致知 격물치지 사물의 이치를 파고들어 지식을 넓힌다 풀이 ‘격물(格物)’은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든다는 뜻이고, ‘치지(致知)’는 앎을 완성한다는 뜻이에요. 즉, 그냥 겉모습만 보고 ‘아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는 게 아니라, ‘왜 그럴까?’ 하고 호기심을 갖고 깊이 탐구해서 ‘아하!’ 하고 진짜 원리를 깨닫게 되는 것을 말해요. 과학자들이 실험하고 관찰하는 것이 바로 격물치지랍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대학(大學)'이라는 책에 나오는 말이에요. 이 책에서는 세상을 바로잡는 큰 뜻을 이루려면 먼저 자기 자신부터 훌륭하게 닦아야 한다고 가르쳤어요. 그리고 그 시작이 바로 '격물치지'라고 했답니다. 세상 모든 것에는 각자의 이치와 원리가 있는데, 그것을 하나하나 깊이 파고들어 알아갈 때 비로소 우리의 앎이 완전해지고 마음도 바르게 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거예요. 예를 들어, 씨앗이 어떻게 싹을 틔우고 자라나 열매를 맺는지 꾸준히 관찰하고 연구하면 식물의 신비한 원리를 깨닫게 되는 것처럼 말이죠. 이렇게 얻은 진짜 지식이야말로 세상을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된답니다. 메모: 호기심을 갖고 '왜?'라는 질문을 던지며 끝까지 탐구하는 자세가 진정한 배움의 시작이에요. 예문 위대한 과학자들은 격물치지 의 정신으로 세상을 바꿀 놀라운 발명을 해냈다. 그는 식물의 이름을 외우는 데 그치지 않고, 격물치지 의 자세로 식물이 자라는 과정을 깊이 연구했다. 문제의 정답만 맞히려 하지 말고 격물치지 하며 그 원리를 깨치는 것이 중요해. 한자: 格(격식 격) 物(만물 물) 致(이를 치) 知(알 지) 주제: 학문 · 탐구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