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관계인 게시물 표시

초등학생 눈높이 사자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 - 입술과 이의 관계로 배우는 협력의 중요성!

이미지
脣 입술 순 亡 망할 망 齒 이 치 寒 찰 한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서로 가까운 관계 중 하나가 사라지면 다른 하나도 위태로워진다 는 의미예요. ··· ··· 脣亡齒寒 순망치한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풀이 입술은 우리 이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죠? 만약 입술이 없다면 찬 바람이 불 때 이가 시리고 아플 거예요. 이처럼 서로 아주 가까워서, 한쪽이 어려움을 겪으면 다른 쪽도 그 영향을 받게 되는 관계를 말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랍니다.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중국에 '괵나라'와 '우나라'라는 이웃 나라가 있었어요. 힘이 센 '진나라'가 괵나라를 공격하고 싶었지만, 그러려면 꼭 우나라를 지나가야만 했죠. 그래서 진나라는 우나라 왕에게 "잠시 길만 빌려주시면 괵나라를 정복하고 얻은 보물을 나눠드릴게요"라고 꾀었어요. 우나라의 똑똑한 신하 '궁지기'는 "안 됩니다! 괵나라와 우리 우나라는 입술과 이 같은 사이입니다. 입술인 괵나라가 사라지면, 이빨인 우리 우나라도 결국 위험해질 것입니다(脣亡齒寒)."라며 반대했어요. 하지만 보물에 눈이 먼 우나라 왕은 신하의 말을 듣지 않고 길을 열어주었답니다. 결국 진나라는 괵나라를 멸망시킨 뒤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까지 공격해서 없애버렸어요. 이 이야기에서 '순망치한'이라는 말이 생겨났답니다. 메모: 나와 가깝게 지내는 친구나 이웃의 소중함을 생각하고, 어려울 때 서로 돕는 마음을 가져야 해요. 예문 앞집에 불이 나자 우리 집까지 위험해졌으니, 이야말로 순망치한 의 상황이었다. 단짝 친구가 전학을 가니 나까지 외로워지는 게 꼭 순망치한 같았다. 우리는 순망치한 의 관계이니, 힘을 합쳐 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 한자: 脣(입술 순) 亡(망할 망) 齒(이 치) 寒(찰 한) 주제: 관...

[초등 사자성어] 자화자찬(自畵自讚) 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自 스스로 자 畵 그림 화 自 스스로 자 讚 기릴 찬 자기가 그린 그림을 스스로 칭찬한다는 뜻으로, 자신이 한 일을 스스로 자랑하고 뽐낼 때 사용하는 말이에요. ··· ··· 自畵自讚 자화자찬 스스로의 그림을 스스로 칭찬하다 풀이 내가 그린 그림을 보고 "와, 정말 잘 그렸다!"라고 스스로 칭찬하는 모습을 떠올려 보세요. 이처럼 '자화자찬'은 자기가 한 일에 대해 스스로를 칭찬하거나 자랑할 때 쓰는 말이에요. 가끔은 다른 사람이 칭찬해주기 전에 먼저 자기 자신을 칭찬하는, 조금은 쑥스러운 상황을 표현하기도 한답니다. 배경/유래 '자화자찬'이라는 말의 유래가 명확하게 전해지지는 않지만, 옛날 화가들의 이야기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돼요. 화가가 자신의 작품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담아 그림의 한쪽에 칭찬하는 글(찬문, 讚文)을 써넣는 경우가 있었어요. 바로 이런 모습에서 '자기가 그린 그림을 스스로 칭찬한다'는 의미가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답니다. 물론 스스로를 칭찬하고 자랑하는 것이 나쁜 것만은 아니에요. 하지만 너무 지나치면 주변 사람들이 "저 사람은 자기 자랑이 너무 심해!"라고 생각하며 눈살을 찌푸릴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해요. 메모: 스스로의 노력과 결과에 자부심을 갖는 것은 좋지만, 다른 사람들의 평가도 귀 기울이며 겸손한 자세를 갖는 것이 더 중요해요. 예문 "이번 시험 100점은 내가 봐도 정말 대단해!"라며 자화자찬 을 늘어놓았다. 친구가 만든 로봇을 보여주며 자화자찬 하는 모습이 귀여워 보였다. 그의 연설은 결국 자신의 업적에 대한 자화자찬 으로 끝나고 말았다. 한자: 自(스스로 자) 畵(그림 화) 自(스스로 자) 讚(기릴 찬) 주제: 태도 · 관계 출처/참고: 국어사전, 위키백과

금란지교(金蘭之交)

이미지
金 쇠 금 蘭 난초 란 之 의 지 交 사귈 교 단단한 쇠(금)와 향기로운 난초(란) 같은 사귐이라는 뜻으로, 매우 깊고 소중한 친구 사이의 우정 을 의미해요. ··· ··· 金蘭之交 금란지교 쇠와 난초 같은 사귐 풀이 쇠(金)처럼 단단해서 아무리 어려운 일이 있어도 변하지 않고, 향기로운 난초(蘭)처럼 마음을 편안하고 기쁘게 해주는 친구 사이의 우정을 말해요. '둘도 없는 친구', '베스트 프렌드'처럼 마음이 잘 통하는 아주 특별한 친구 관계를 표현할 때 쓰는 아름다운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금란지교'는 중국의 아주 오래된 책인 '주역(周易)'에 나오는 말에서 유래했어요. 책에는 "두 사람이 마음을 함께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를 자를 수 있고, 마음을 함께한 말은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라는 구절이 있어요. 즉, 마음이 딱 맞는 친구가 함께 힘을 합치면 단단한 쇠도 끊을 수 있을 만큼 강한 힘이 생기고, 서로 나누는 진심 어린 이야기는 향기로운 난초처럼 주변을 아름답게 만든다는 뜻이죠. 이 말에서 '쇠(金)'와 '난초(蘭)'를 따와서 아주 돈독하고 깊은 우정을 '금란지교'라고 부르게 되었답니다. 메모: 여러분에게도 금란지교를 나눌 친구가 있나요? 힘들 때 힘이 되어주고,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소중한 친구를 떠올려 보세요. 예문 어린 시절부터 함께 자란 우리는 아무도 부러워하지 않을 금란지교 를 맺었다. 그 두 사람은 서로를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금란지교 의 사이다. 진정한 친구란 바로 금란지교 처럼 변치 않는 우정을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자: 金(쇠 금) 蘭(난초 란) 之(의 지) 交(사귈 교) 주제: 우정 · 관계 출처/참고: 국어사전, 주역

수어지교 (水魚之交)

이미지
水 물 수 魚 물고기 어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는 것처럼, 아주 친해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특별한 친구 사이 를 말해요. ··· 水魚之交 수어지교 물과 물고기의 사귐 풀이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아주 소중하고 친밀한 관계를 비유하는 말입니다. 주로 아주 친한 친구나 서로를 아끼는 군신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해요. 배경/유래 이 말은 중국의 유명한 역사 소설 '삼국지'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어요. 옛날 중국에 유비라는 임금이 있었는데, 아주 똑똑한 신하인 제갈량을 얻고 싶었어요. 유비는 제갈량을 만나기 위해 세 번이나 찾아가는 정성을 보였고, 마침내 제갈량은 유비의 신하가 되기로 했어요. 유비는 제갈량을 얻은 후 너무 기뻐서 항상 그와 함께하며 나라의 중요한 일을 의논했어요. 그러자 원래 함께했던 관우, 장비 같은 다른 장수들이 조금 질투를 했어요. 그때 유비가 이렇게 말했어요. "나에게 제갈량이 있는 것은, 마치 물고기에게 물이 있는 것과 같다!" 이 말에서 '수어지교'라는 사자성어가 생겨났답니다. 메모: 여러분에게도 물고기에게 물과 같은 소중한 친구가 있나요? 그런 친구를 꼭 아끼고 소중히 여기세요! 예문 나와 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