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마음가짐인 게시물 표시

청렴결백(淸廉潔白)

이미지
淸 맑을 청 廉 청렴할 렴 潔 깨끗할 결 白 흰 백 마음이 맑고 깨끗하며 욕심이 없다는 뜻으로, 성품과 행실이 아주 정직하고 흠이 없는 상태 를 의미해요. ··· ··· 淸廉潔白 청렴결백 맑고 깨끗하며 욕심이 없음 풀이 '청(淸)', '렴(廉)', '결(潔)', '백(白)' 네 글자는 모두 '맑고 깨끗하다'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마치 티 없이 하얀 옷이나 맑은 구슬처럼, 마음과 행동에 조금의 욕심이나 잘못도 없이 아주 깨끗한 사람을 '청렴결백하다'고 말해요. 특히 돈이나 지위를 이용해 나쁜 이익을 챙기지 않고, 항상 정직하고 바르게 사는 태도를 가리키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청렴결백'은 어떤 한 이야기에서 나온 말이라기보다는, 옛날부터 모든 사람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삶의 자세였어요. 특히 나라의 일을 하는 관리들에게는 가장 필요한 덕목이었죠. 조선 시대의 '황희 정승'은 청렴결백한 인물의 대표로 꼽혀요. 그는 아주 높은 벼슬인 영의정을 오랫동안 지냈지만, 비가 새는 낡은 초가집에 살았고, 입을 옷이 없어 솜이 삐져나온 낡은 옷을 입고 다닐 정도로 검소했어요.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자신을 위해 욕심을 부리지 않고 오직 나라와 백성을 위해 일했던 황희 정승의 삶이야말로 '청렴결백'의 좋은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답니다. 메모: 다른 사람의 물건을 탐내지 않고, 규칙을 잘 지키며 정직하게 행동하는 것이 바로 '청렴결백'한 삶의 시작이에요. 예문 그분은 평생을 청렴결백 하게 살아오셔서 모든 사람의 존경을 받는다. 판사는 그 누구보다 청렴결백 한 마음으로 공정한 판결을 내려야 한다.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서도 청렴결백 을 지키는 것은 매우 훌륭한 일이다. 한자: 淸(맑을 청) 廉(청렴할 렴) 潔(깨끗할 ...

수구초심(首丘初心)

이미지
首 머리 수 丘 언덕 구 初 처음 초 心 마음 심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고향 언덕 쪽으로 둔다는 뜻으로, 근본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을 의미해요. ··· ··· 首丘初心 수구초심 근본을 잊지 않는 처음의 마음 풀이 '수구(首丘)'는 여우가 죽을 때 자신이 살던 언덕 쪽으로 머리를 돌린다는 옛이야기에서 나온 말이에요. 이는 자신의 고향이나 근본을 잊지 않는 마음을 뜻해요. '초심(初心)'은 맨 처음 가졌던 마음을 의미하죠. 따라서 '수구초심'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또는 어떤 일을 시작할 때 가졌던 순수한 열정과 겸손한 마음을 잊지 않으려는 다짐을 나타내는 말로 쓰여요. 배경/유래 아주 오래된 책인 '예기(禮記)'에 "여우는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이 있는 언덕 쪽으로 바르게 향한다."는 글이 있어요. 여우 같은 동물도 자신의 뿌리를 잊지 않는다는 뜻이죠. 사람이라면 당연히 자신이 태어난 곳과 부모님의 은혜, 그리고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주기 위해 이 말을 사용하게 되었어요. 즉, '수구초심'은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답니다. 첫째는 고향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마음, 둘째는 시간이 흘러 성공하거나 나태해지더라도 처음의 순수하고 열정적인 마음을 잃지 말자는 다짐이에요. 메모: 새로운 학년을 시작할 때의 설레는 마음, 꿈을 향해 처음 도전할 때의 뜨거운 열정을 잊지 마세요. 그것이 바로 여러분의 '초심'이에요. 예문 해외에서 오랫동안 생활하신 할아버지는 늘 수구초심 의 마음으로 고향을 그리워하셨다. 큰 성공을 거둔 그는 수구초심 을 잃지 않기 위해 매일 아침 처음의 다짐을 되새겼다. 선생님께서는 우리에게 늘 수구초심 의 자세로 겸손하게 행동하라고 가르치셨다. 한자: 首(머리 수) 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