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성공인 게시물 표시

형설지공(螢雪之功)

이미지
螢 반딧불 형 雪 눈 설 之 갈 지 功 공 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환경을 이겨내고 열심히 공부하여 얻은 성공 을 의미해요. ··· ··· 螢雪之功 형설지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성공 풀이 '형(螢)'은 반딧불, '설(雪)'은 눈을 뜻해요. 그리고 '지공(之功)'은 '그것으로 이룬 공'이라는 뜻이죠. 즉, '형설지공'은 반딧불과 눈의 빛에 의지해 공부하며 이룬 공로라는 의미로,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면 마침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교훈을 주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형설지공'은 두 사람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어요. 첫 번째는 중국 진나라의 '차윤'이라는 사람 이야기예요. 그는 너무 가난해서 밤에 책을 밝힐 등불의 기름을 살 돈이 없었어요. 하지만 공부를 포기할 수 없었던 차윤은 여름밤마다 수십 마리의 반딧불이를 잡아 주머니에 넣고, 그 희미한 빛으로 책을 읽었답니다. 두 번째는 '손강'이라는 사람 이야기예요. 그 역시 매우 가난해서 등불을 켤 수 없었어요. 손강은 추운 겨울밤, 창가에 쌓인 하얀 눈이 달빛에 반사되어 밝게 빛나는 것을 이용해 책을 읽었어요. 훗날 사람들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배움을 멈추지 않았던 두 사람의 노력을 기리기 위해 그들의 이야기를 합쳐 '형설지공'이라는 말을 만들었답니다. 두 사람 모두 나중에 큰 학자가 되었어요! 메모: 환경이 어렵다고 꿈을 포기해서는 안 돼요. 굳은 의지만 있다면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어요. 예문 그는 형설지공 의 노력 끝에 마침내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다. 위인전에는 형설지공 으로 어려움을 이겨내고 훌륭한 사람이 된 이야기가 많다. 할머니께서는 형설지공 으로 배운 지식은 절대 잊히지 않는다고 말씀하셨...

불광불급 (不狂不及)

이미지
不 아닐 불 狂 미칠 광 不 아닐 불 及 미칠 급 어떤 일에 미친 듯이 푹 빠지지 않으면, 원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없다는 뜻이에요.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그만큼 미칠 정도로 열심히 해야 한다 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 不狂不及 불광불급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 풀이 어떤 일에 완전히 몰두하고 열정적으로 임하지 않으면, 그 분야에서 최고의 경지에 도달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온 힘을 다하는 자세를 강조하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이 성어는 '미친(狂)'다는 한자 뜻 그대로 정신이 이상하다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일에 푹 빠져서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을 만큼 열중하는 상태를 말해요. 예술가나 학자들이 자신의 분야에 깊이 몰두하여 위대한 성과를 낸 것을 보며 생겨난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대 중국의 철학자 공자는 배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열정을 가지고 미친 듯이 노력하는 사람이 없으면, 완전한 경지에 도달할 수 없다"고 했어요. 여기서 '미친 듯이'라는 표현이 바로 '광(狂)'에 해당합니다. 단순히 열심히 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야만 비로소 진정한 성공을 이룰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요. 메모: 좋아하는 일이 있다면, 남들이 '미쳤다'고 할 만큼 열정을 쏟아보세요. 그 노력이 쌓여서 큰 결실을 맺을 거예요! 예문 축구 선수는 불광불급 의 정신으로 매일 훈련하여 결국 국가대표가 되었다. 하루 종일 그림만 그리는 언니를 보며 엄마는 "너는 정말 불광불급 이구나"라고 말씀하셨다. 이번 대회를 우승하려면 불광불급 의 마음으로 연습해야 해. 한자: 不(아닐 불) 狂(미칠 광) 不(아닐 불) 及(미칠 급) 주제: 열정 · 노력 출처/참고: 공자어록, 한자어 사전

대기만성 (大器晩成)

이미지
大 클 대 器 그릇 기 晩 늦을 만 成 이룰 성 아주 커다란 그릇은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처럼, 크게 될 사람은 남들보다 조금 늦더라도 결국 훌륭하게 성공한다 는 뜻이에요. ··· 大器晩成 대기만성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 풀이 큰 인물이 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당장은 눈에 띄지 않더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나중에 크게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에 최염이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그의 사촌 동생인 최림은 어릴 때 주변 사람들로부터 똑똑하다는 칭찬을 받지 못하고 조금 둔하다는 평가를 받았어요. 하지만 최염은 최림을 보고 "큰 종이나 솥은 금방 만들 수 없듯이, 큰 인물도 천천히 성장하는 법이다. 너는 나중에 분명 큰 인물이 될 것이다."라며 격려해주었죠. 최염의 말대로 최림은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여 나중에 정말 훌륭한 학자가 되어 높은 자리에 올랐다고 해요. 이 이야기에서 '대기만성'이라는 말이 유래되었답니다. 이처럼 빨리 꽃을 피우지 않는다고 해서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거북이가 토끼보다 느렸지만 결국 결승점에 도착한 것처럼, 자신의 속도에 맞춰 꾸준히 나아가는 것이 중요해요. 메모: 남들과 비교하며 조급해하지 말고, 자신의 꿈을 향해 묵묵히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해요. 예문 그는 비록 늦은 나이에 화가로 데뷔했지만, 대기만성 형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지금 당장 성과가 보이지 않더라도 실망하지 마, 너는 대기만성 할 사람이야. 할아버지는 젊은 시절의 고생을 이겨내고 대기만성 하여 큰 사업가가 되셨다. 한자: 大(클 대) 器(그릇 기) 晩(늦을 만) 成(이룰 성) 주제: 노력 · 성공 출처/참고: 국어사전, 위키백과

대기만성 (大器晩成)

이미지
大 클 대 器 그릇 기 晩 늦을 만 成 이룰 성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는 뜻이에요. 훌륭한 사람이 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처럼, 지금 당장 잘하지 못해도 꾸준히 노력하면 나중에 꼭 큰 인물이 될 수 있다 는 희망을 주는 말이에요. ··· 大器晩成 대기만성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 풀이 큰 그릇을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처럼, 크게 될 인물도 오랜 시간 동안 노력과 경험을 쌓아 늦게 성공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능이 뒤늦게 빛을 발하는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희망적인 표현입니다. 배경/유래 이 말은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최염이라는 사람의 이야기에서 유래했어요. 최염의 사촌 동생인 최림은 젊었을 때 주변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조금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최염은 최림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렇게 격려했습니다. "큰 종이나 솥 같은 거대한 그릇은 쉽게 뚝딱 만들어지지 않는 법이다. 너 또한 '대기만성'할 사람이니, 지금의 평가에 실망하지 말고 꾸준히 노력하면 반드시 훌륭한 인물이 될 것이다." 최염의 믿음대로 최림은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자신을 갈고닦았고, 마침내 황제를 돕는 아주 높은 관리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처럼 '대기만성'은 당장의 결과에 실망하지 않고, 자신의 꿈을 향해 묵묵히 나아가는 사람들에게 큰 용기를 주는 말이랍니다. 메모: 친구보다 조금...

마부작침 (磨斧作針)

이미지
磨 갈 마 斧 도끼 부 作 지을 작 針 바늘 침 무거운 도끼를 갈고 또 갈아서 아주 작은 바늘을 만드는 것처럼,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다 는 뜻이에요. ··· 磨斧作針 마부작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 풀이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참고 꾸준히 노력하면 반드시 성공한다는 의미입니다. 포기하지 않는 끈기와 인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지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유명한 시인 이백(李白)이 젊은 시절 공부를 포기하고 집에 가던 길이었어요. 한 할머니가 큰 도끼를 맷돌에 열심히 갈고 있는 것을 보았죠. 이백이 '무엇을 하시나요?' 하고 묻자, 할머니는 '이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려고 한단다'라고 대답했어요. 이백은 할머니의 끈기에 크게 깨닫고 다시 마음을 다잡아 열심히 공부해 훌륭한 시인이 되었다고 해요. 이 이야기에서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의 마부작침이라는 말이 유래했어요. 메모: 큰 목표를 향해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문 포기하고 싶을 때마다 마부작침 을 떠올리며 다시 펜을 잡았어요. 처음에는 그림이 엉망이었지만, 마부작침 의 마음으로 꾸준히 연습해서 지금은 정말 잘 그려요. 매일 조금씩 꾸준히 연습한 끝에 마부작침 처럼 어려운 피아노곡을 완벽하게 연주했어요. 한자: 磨(갈 마) 斧(도끼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