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슬픔인 게시물 표시

'풍수지탄'의 슬픈 뜻, 부모님 계실 때 잘해야 하는 이유 (초등 사자성어, 효도)

이미지
風 바람 풍 樹 나무 수 之 갈 지 嘆 탄식할 탄 '바람과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부모님께서 돌아가신 뒤에 효도를 다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고 슬퍼하는 마음 을 의미해요. ··· ··· 風樹之嘆 풍수지탄 부모님께 효도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 풀이 부모님께 효도하고 싶지만, 마음먹었을 때는 이미 부모님께서 곁에 안 계셔서 더 이상 효도할 수 없는 슬픔을 나타내는 말이에요. '나무는 조용히 서 있고 싶지만 바람이 계속 불고, 자식은 부모님을 모시고 싶지만 부모님은 기다려 주시지 않는다'는 깊은 뜻을 담고 있답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공자가 길을 가다가 슬피 우는 한 남자를 만났어요. 남자의 이름은 고어로, 그는 "제가 젊었을 때 공부를 위해 여러 나라를 떠돌아다니다 고향에 돌아와 보니 부모님께서는 이미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이제 와서 효도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으니 너무나 슬픕니다."라고 말하며 눈물을 흘렸어요. 나무가 가만히 있고 싶어도 바람 때문에 흔들리는 것처럼, 자식이 효도할 때를 놓치면 부모님은 기다려주시지 않는다는 그의 후회 섞인 말에서 '풍수지탄'이라는 사자성어가 유래되었답니다. 메모: 부모님이 곁에 계실 때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자주 표현하는 것이 가장 큰 효도라는 교훈을 줘요. 예문 할아버지께서는 돌아가신 증조할머니 사진을 보시며 풍수지탄 의 슬픔에 잠기셨다. 명절에 홀로 고향집을 찾은 아들은 뒤늦게 풍수지탄 하며 눈물을 흘렸다. 어른들께서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있을 때 잘해라"라고 하시는 건 풍수지탄 하지 말라는 뜻이다. 한자: 風(바람 풍) 樹(나무 수) 之(갈 지) 嘆(탄식할 탄) 주제: 효도 · 슬픔 · 후회 출처/참고: 국어사전, 예기(禮記)

백아절현(伯牙絶絃)

이미지
伯 맏 백 牙 어금니 아 絶 끊을 절 絃 줄 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자신을 알아주는 소중한 친구를 잃은 깊은 슬픔 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 ··· 伯牙絶絃 백아절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다 풀이 '백아(伯牙)'는 옛날 중국의 유명한 음악가 이름이고, '절현(絶絃)'은 악기의 줄을 끊어 버렸다는 뜻이에요. 즉, '백아절현'은 백아라는 사람이 자신의 악기 줄을 끊어 버렸다는 이야기로, 마음까지 완벽하게 알아주던 친구를 잃은 슬픔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처럼 나를 가장 잘 이해해주던 친구를 '지음(知音)'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거문고를 기가 막히게 잘 연주하는 '백아'라는 음악가가 있었어요. 그에게는 '종자기'라는 아주 특별한 친구가 있었죠. 종자기는 백아가 연주하는 음악을 듣고 그 마음을 정확하게 알아맞혔어요. 백아가 높은 산을 생각하며 연주하면, 종자기는 "와, 마치 태산처럼 높고 멋진 소리야!"라고 외쳤고, 흐르는 강을 생각하며 연주하면 "정말 넓은 강이 흐르는 것 같아!"라고 감탄했어요. 이렇게 종자기는 세상에서 유일하게 백아의 음악과 마음을 알아주는 친구였어요. 그런데 안타깝게도 종자기가 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어요. 너무나 슬펐던 백아는 친구의 무덤 앞에서 마지막으로 슬픈 곡을 연주한 뒤, 거문고의 줄을 모두 끊어 버리고 다시는 연주하지 않았다고 해요. 자신의 음악을 알아주는 단 한 사람이 사라졌으니, 더 이상 연주할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이 이야기에서 '백아절현'이라는 말이 생겨났답니다. 메모: 내 마음을 온전히 이해해 주는 친구는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물이에요. 예문 평생의 단짝을 잃은 그의 슬픔은 백아절현 의 고사와 같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