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이해인 게시물 표시

관포지교(管鮑之交)

이미지
管 대롱 관 鮑 절인어물 포 之 갈 지 友 사귈 교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서로를 깊이 이해하고 믿어주는 아주 특별한 우정 을 의미해요. ··· ··· 管鮑之交 관포지교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 풀이 '관(管)'은 관중, '포(鮑)'는 포숙아라는 옛날 중국 사람의 이름이에요. '지교(之交)'는 '의 사귐' 즉, 우정을 뜻하죠. 따라서 '관포지교'는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이라는 말 그대로의 뜻으로, 친구의 상황과 마음을 깊이 헤아려주는 변치 않는 진한 우정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중국에 관중과 포숙아라는 친구가 있었어요. 관중은 가난했고 실수도 잦았지만, 포숙아는 한 번도 관중을 탓하지 않고 늘 그의 편이 되어주었어요. 예를 들어, 함께 장사를 해서 돈을 벌었을 때 관중이 더 많은 돈을 가져가도 포숙아는 "관중은 집이 가난해서 그래"라며 이해해주었어요. 또 관중이 전쟁터에서 도망쳤을 때 사람들은 그를 겁쟁이라고 놀렸지만, 포숙아는 "관중에게는 돌봐야 할 늙은 어머니가 계시기 때문이야"라며 감싸주었죠. 포숙아의 깊은 믿음 덕분에 관중은 나중에 아주 훌륭한 인물이 될 수 있었어요. 훗날 관중은 이렇게 말했답니다. "나를 낳아주신 분은 부모님이지만, 나를 진정으로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다!" 이들의 아름다운 우정에서 '관포지교'라는 말이 생겨났어요. 메모: 친구가 실수하거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비난하기보다 그 친구의 마음을 먼저 헤아려주는 것이 진정한 우정이에요. 예문 두 사람의 우정은 이 시대의 관포지교 라 할 만큼 매우 돈독하다. 나에게도 나의 모든 것을 이해해주는 관포지교 와 같은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어. 진정한 친구란 바로 관포지교 처럼 서로를 믿어주는 관계를 말한다. 한자: 管...

역지사지 (易地思之)

이미지
易 바꿀 역 地 처지 지 思 생각할 사 之 그것 지 다른 사람과 나의 처지를 바꾸어 생각해 본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한번 더 생각하고 이해하려는 마음 을 말해요. ··· ··· 易地思之 역지사지 처지를 바꾸어 그것을 생각한다 풀이 친구가 왜 화가 났는지, 동생이 왜 울고 있는지 궁금할 때가 있죠? 그럴 때 '내가 만약 친구였다면?', '내가 동생이었다면?' 하고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보는 거예요. 그러면 친구와 동생의 마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답니다. 이처럼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는 것을 '역지사지'라고 해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위대한 학자인 맹자가 한 말에서 유래했어요. 맹자는 하나라의 '우' 임금과 주나라의 '후직'이라는 훌륭한 사람들을 칭찬하며, "만약 이 사람들이 서로 다른 시대에 태어나 처지가 바뀌었더라도 똑같이 백성을 사랑하고 훌륭하게 행동했을 것이다."라고 말했어요. 여기서 '처지를 바꾸어도 똑같았을 것이다(易地則皆然)'라는 말에서 '역지사지'가 생겨났답니다. 처음에는 훌륭한 사람들은 언제나 똑같이 행동한다는 뜻이었지만, 지금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더 널리 쓰이고 있어요. 상대방의 신발을 신어보기 전까지는 그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있어요.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할 때 다툼은 줄어들고 우정은 더욱 깊어질 수 있을 거예요. 메모: 갈등이 생겼을 때, 내 생각만 주장하기 전에 먼저 상대방의 입장에서 '왜 그랬을까?' 하고 생각해보는 습관을 가져보아요. 예문 역지사지 의 마음으로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주니, 오해가 쉽게 풀렸다. 층간소음 문제로 다투기 전에, 역지사지 하며 서로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동생의 장난감을 함부로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