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초등국어인 게시물 표시

[오늘의 사자성어] 학수고대(鶴首苦待), 목 빠지게 기다린다는 말을 한자로? (초등 눈높이 설명)

이미지
鶴 학 학 首 머리 수 苦 쓸 고 待 기다릴 대 학이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리는 것처럼, 애타게 누군가나 무언가를 기다린다 는 뜻이에요. ··· ··· 鶴首苦待 학수고대 학의 목처럼 길게 빼고 기다림 풀이 동물원에 가 본 적 있나요? 학은 목이 아주 길쭉한 새예요. '학수(鶴首)'는 '학의 목'이라는 뜻이고, '고대(苦待)'는 애타게 기다린다는 뜻이랍니다. 그래서 '학수고대'라고 하면, 마치 학이 목을 길게 빼고 먼 곳을 바라보며 무언가를 기다리는 것처럼 아주 간절하게 기다리는 마음을 표현하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 진나라 때의 일이에요. 도연명이라는 유명한 시인이 있었는데, 그의 친구가 멀리 다른 지역의 책임자가 되어 떠나게 되었어요. 친구가 떠난 후, 도연명은 그 친구를 너무나 그리워하며 날마다 친구가 있는 쪽을 바라보았어요. "학처럼 목을 길게 빼고 돌아올 친구를 기다리네"라는 시를 지어 친구를 향한 그리움을 표현했답니다. 이 이야기에서 '학수고대'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어요. 여름휴가를 기다리거나, 생일 선물을 기다릴 때, 또는 멀리 계신 할머니, 할아버지를 만날 날을 기다릴 때처럼 설레고 애타는 마음을 '학수고대'라는 말로 멋지게 표현해 볼 수 있겠죠? 메모: 간절히 기다리는 대상이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큰 기쁨과 설렘을 준답니다. 예문 나는 해외에 계신 부모님이 오실 날을 학수고대 하며 달력에 표시했다. 아이들은 크리스마스 아침에 산타 할아버지의 선물을 학수고대 했다. 우리는 모두가 함께 떠날 소풍날을 학수고대 하고 있다. 한자: 鶴(학 학) 首(머리 수) 苦(쓸 고) 待(기다릴 대) 주제: 기다림 · 그리움 출처/참고: 국어사전, 시문이야기

[오늘의 사자성어] 각자도생(各自圖生), 스스로의 힘을 믿어봐! (초등 눈높이 설명)

이미지
各 각각 각 自 스스로 자 圖 꾀할 도 生 살 생 어려운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기 어려울 때,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갈 방법을 찾는 모습 을 뜻해요. ··· ··· 各自圖生 각자도생 각자 스스로 살아갈 길을 찾는다 풀이 '각자도생'은 '각각 스스로 살길을 꾀한다'는 뜻이에요. 놀이터에서 다 같이 놀다가 갑자기 비가 쏟아질 때, 저마다 집으로 뛰어가거나 비를 피할 곳을 스스로 찾는 것처럼,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지 않고 저마다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을 말해요. 배경/유래 '각자도생'이라는 말은 아주 오래전 조선시대 때 유래되었어요. 나라에 큰 전쟁이 나거나 심한 가뭄이 들어 먹을 것이 부족해지는 등 아주 힘든 시기가 있었어요. 이때 나라의 힘만으로는 모든 백성을 돌보기 어려워, "스스로 살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던 것에서 시작되었답니다. 슬픈 역사 속에서 생겨난 말이지만, 오늘날에는 어려운 상황을 스스로의 힘으로 이겨내려는 굳센 의지를 나타내는 말로도 쓰여요. 때로는 혼자 힘으로 어려움을 헤쳐나가야 할 때도 있어요. 무인도에 혼자 남겨진 로빈슨 크루소처럼, 스스로의 지혜와 용기로 살아남는 법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답니다. 메모: 함께 힘을 합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책임감을 기르는 것도 필요해요. 예문 시험공부를 할 때는 결국 각자도생 이야.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열심히 공부해야 해. 조별 과제에서 아무도 나서지 않자, 우리는 어쩔 수 없이 각자도생 으로 각자 맡은 부분을 해결했다.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각자도생 의 길을 찾아야만 했다. 한자: 各(각각 각) 自(스스로 자) 圖(꾀할 도) 生(살 생) 주제: 자립 · 생존 출처/참고: 국어사전, 조선왕조실록

[초등 사자성어] 사필귀정(事必歸正)의 뜻, 정의는 반드시 승리해요! (쉬운 유래와 예문)

이미지
事 일 사 必 반드시 필 歸 돌아갈 귀 正 바를 정 무슨 일이든 결국에는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지금 당장은 잘못된 일이 이기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에는 정의가 승리한다 는 의미예요. ··· ··· 事必歸正 사필귀정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간다 풀이 처음에는 나쁜 일이 잘 풀리는 것처럼 보이거나, 착한 사람이 억울한 일을 당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사필귀정'은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세상의 모든 일은 결국 올바른 방향으로 제자리를 찾아간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어요. 거짓말이나 속임수는 언젠가 들통나고, 정의롭고 올바른 것이 결국에는 이긴다는 뜻이에요. 배경/유래 '사필귀정'은 특정한 한 사람의 이야기에서 나온 말은 아니에요. 옛날부터 많은 사람들이 살면서 옳고 그름이 항상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을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말이랍니다. 예를 들어, 힘이 센 사람이 약한 친구를 괴롭히면 당장은 힘센 사람이 이기는 것 같지만, 결국 선생님께 알려지거나 다른 친구들이 힘을 합쳐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게 되지요. 이런 경험들이 모여 '모든 일은 결국 바른길로 돌아온다'는 '사필귀정'이라는 지혜로운 말이 탄생하게 된 거예요. 동화 '흥부와 놀부'에서 욕심쟁이 놀부는 벌을 받고 착한 흥부는 복을 받는 것처럼, 세상의 이치가 결국 바른 쪽으로 흐른다는 것을 보여주는 말이에요. 메모: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잘못된 상황을 보더라도 희망을 잃지 말고, 올바른 길을 꾸준히 가는 것이 중요해요. 예문 거짓말로 친구를 속인 사실이 결국 밝혀졌으니, 역시 사필귀정 이다. 악당이 결국 벌을 받는 영화의 결말은 사필귀정 의 교훈을 보여준다. 오랜 재판 끝에 억울한 누명을 벗은 그를 보며 사람들은 사필귀정 이라고 말했다. 한자: 事(일 사) 必(반드시 필) 歸(돌아갈 귀) 正(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