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감인 게시물 표시

[초등 사자성어]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以 써 이 心 마음 심 傳 전할 전 心 마음 심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한다는 말로, 굳이 말로 하지 않아도 상대방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상태 를 뜻해요. ··· ··· 以心傳心 이심전심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하다 풀이 말이나 글을 사용하지 않고도, 눈빛이나 표정만으로 서로의 마음을 깊이 이해하고 통하는 것을 말해요. 아주 친한 친구나 가족 사이에서 자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교감을 의미한답니다. 배경/유래 이 말은 불교에서 유래되었어요. 옛날에 석가모니가 제자들을 모아놓고 가르침을 전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석가모니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냥 연꽃 한 송이를 조용히 들어 보였어요. 제자들은 스승님이 왜 저러시는지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고 어리둥절해했죠. 하지만 그중 '가섭'이라는 제자만이 그 뜻을 알아차리고 빙그레 미소를 지었어요. 그 미소를 본 석가모니는 "나의 깊은 깨달음은 말이나 글이 아닌 마음으로만 전할 수 있는데, 오직 가섭만이 그것을 깨달았다"고 말하며 자신의 가르침을 그에게 물려주었다고 해요. 이처럼 말없이 마음으로 진리를 전했다는 이야기에서 '이심전심'이라는 말이 생겨났답니다. 이 이야기는 '염화미소(拈華微笑)'라는 다른 사자성어로도 알려져 있어요. 메모: "나 지금 떡볶이 먹고 싶은데!"라고 생각한 순간, 친구가 "우리 떡볶이 먹으러 갈래?"라고 말할 때! 바로 그게 이심전심이에요. 예문 우리는 오랫동안 함께해서 그런지, 눈빛만 봐도 이심전심 으로 서로의 기분을 알 수 있다.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어떻게 알았어? 우리 사이에 이심전심 이 통했나 봐! 쌍둥이인 형제는 말하지 않아도 이심전심 으로 통하는 점이 많았다. 한자: 以(써 이) 心(마음 심) 傳(전할 전) 心(마음 심) 주제: 우정 · 교감 출처/참고: 국어사전...

역지사지 (易地思之)

이미지
易 바꿀 역 地 처지 지 思 생각할 사 之 그것 지 다른 사람과 나의 처지를 바꾸어 생각해 본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한번 더 생각하고 이해하려는 마음 을 말해요. ··· ··· 易地思之 역지사지 처지를 바꾸어 그것을 생각한다 풀이 친구가 왜 화가 났는지, 동생이 왜 울고 있는지 궁금할 때가 있죠? 그럴 때 '내가 만약 친구였다면?', '내가 동생이었다면?' 하고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보는 거예요. 그러면 친구와 동생의 마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답니다. 이처럼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는 것을 '역지사지'라고 해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위대한 학자인 맹자가 한 말에서 유래했어요. 맹자는 하나라의 '우' 임금과 주나라의 '후직'이라는 훌륭한 사람들을 칭찬하며, "만약 이 사람들이 서로 다른 시대에 태어나 처지가 바뀌었더라도 똑같이 백성을 사랑하고 훌륭하게 행동했을 것이다."라고 말했어요. 여기서 '처지를 바꾸어도 똑같았을 것이다(易地則皆然)'라는 말에서 '역지사지'가 생겨났답니다. 처음에는 훌륭한 사람들은 언제나 똑같이 행동한다는 뜻이었지만, 지금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더 널리 쓰이고 있어요. 상대방의 신발을 신어보기 전까지는 그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있어요.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할 때 다툼은 줄어들고 우정은 더욱 깊어질 수 있을 거예요. 메모: 갈등이 생겼을 때, 내 생각만 주장하기 전에 먼저 상대방의 입장에서 '왜 그랬을까?' 하고 생각해보는 습관을 가져보아요. 예문 역지사지 의 마음으로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주니, 오해가 쉽게 풀렸다. 층간소음 문제로 다투기 전에, 역지사지 하며 서로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동생의 장난감을 함부로 만...

동병상련 (同病相憐)

이미지
同 한가지 동 病 병 병 相 서로 상 憐 불쌍히 여길 련 친구가 넘어져서 무릎을 다쳤을 때, 나도 다쳐 본 적이 있어서 얼마나 아픈지 아는 것처럼,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불쌍하게 여긴다 는 뜻이에요. ··· ··· 同病相憐 동병상련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 풀이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끼리 서로의 사정을 잘 이해하고 동정하며 돕는다는 의미로 사용돼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 춘추시대에 오자서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그는 억울한 일로 가족을 잃고 다른 나라인 오나라로 도망쳤어요. 얼마 후, 백비라는 사람도 오자서와 똑같이 억울한 일로 가족을 잃고 오나라로 도망 왔어요. 오자서는 백비의 이야기를 듣고 마치 자신의 이야기처럼 마음이 아팠어요. 그래서 오자서는 백비를 왕에게 추천하며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는 서로 불쌍히 여기고, 같은 근심이 있는 사람끼리는 서로 돕는 법입니다."라고 말했어요. 이 이야기에서 '동병상련'이라는 말이 생겨났답니다. 자신과 비슷한 아픔을 가진 사람의 마음을 더 잘 이해하고 위로하게 된다는 뜻이지요. 메모: 다른 사람의 어려움을 보면, 나도 비슷한 경험이 있는지 생각해보고 그 마음을 이해해주려고 노력해 보세요. 예문 시험을 망쳐서 속상한 친구를 보니, 나도 지난 시험이 생각나서 동병상련 의 마음이 들었다. 두 팀 모두 경기에서 져서 아쉬워하는 모습을 보니 동병상련 이 느껴졌다. 혼자만 숙제를 못해서 걱정하고 있었는데, 친구도 못했다는 말을 듣고 동병상련 을 느꼈다. 한자: 同(한가지 동) 病(병 병) 相(서로 상) 憐(불쌍히 여길 련) 주제: 공감 · 위로 출처/참고: 오월춘추, 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