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공자인 게시물 표시

[똑똑이 사자성어] 문일지십(聞一知十),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고?

이미지
聞 들을 문 一 하나 일 知 알 지 十 열 십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뜻으로, 아주 조금만 배워도 전체를 깨달을 만큼 매우 똑똑하고 총명하다 는 의미예요. ··· ··· 聞一知十 문일지십 하나를 듣고 열을 안다 풀이 하나만 살짝 알려줘도 그와 관련된 열 가지를 스스로 알아챌 만큼 이해력이 뛰어나고 지혜로운 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이에요. 마치 작은 힌트 하나로 전체 그림을 맞추는 명탐정처럼, 배움이 아주 빠른 사람을 의미하죠.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위대한 스승 공자에게는 제자들이 아주 많았어요. 그중에는 말재주가 뛰어난 '자공'과, 조용하지만 학문이 깊고 매우 총명한 '안회'라는 제자가 있었죠. 어느 날 공자가 자공에게 물었어요. "너와 안회 중에 누가 더 뛰어나다고 생각하느냐?" 그러자 자공은 망설임 없이 대답했어요. "제가 어찌 안회를 따라가겠습니까?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깨우치지만(문일지십), 저는 하나를 들으면 겨우 둘을 알 뿐입니다." 이 대답을 들은 공자는 "그래, 너와 나 모두 그에게 미치지 못한다."라며 안회의 뛰어남을 인정했답니다. 이 이야기에서 '문일지십'이라는 말이 생겨나, 아주 지혜롭고 총명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어요.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것에서 더 나아가 '왜 그럴까?' 하고 스스로 생각해보고 이것저것 응용해보는 친구들이 바로 '문일지십'하는 어린이들이랍니다. 메모: 배운 것을 바탕으로 새롭게 생각하고 질문하는 습관을 기르면 누구나 '문일지십'하는 똑똑이가 될 수 있어요. 예문 그 친구는 정말 문일지십 하는 아이라서, 수학 공식 하나를 배우면 어려운 문제도 척척 풀어낸다. 동생은 요리에 재능이 있는지, 요리법을 한번 쓱 보고 나더니 문일지십 하여 ...

군자불기(君子不器) 뜻, 한 가지 틀에 갇히지 않는 리더의 조건 | 초등학생 눈높이 고사성어 풀이

이미지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不 아닐 불 器 그릇 기 훌륭한 사람은 한 가지 용도로만 쓰이는 그릇과 같지 않다는 뜻으로, 다양한 재능과 넓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되어야 한다 는 의미예요. ··· ··· 君子不器 군자불기 군자는 그릇이 아니다 풀이 여기서 '그릇(器)'은 한 가지 쓰임새만 있는 도구를 뜻해요. 예를 들어 망치는 못을 박는 데만 쓰이죠. '군자불기'는 훌륭한 사람, 즉 '군자(君子)'는 망치처럼 한 가지 일만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여러 가지를 두루두루 잘하고 생각의 폭이 넓은 사람이라는 의미예요. 다방면에 재능이 있고 어떤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깊은 뜻을 담고 있어요. 배경/유래 아주 오래전 중국의 위대한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말씀에서 유래했어요. 공자는 제자들에게 "군자는 그릇과 같아서는 안 된다(君子不器)"라고 가르쳤어요. 당시에는 각자 맡은 한 가지 기술만 연마하는 전문가들이 많았는데, 공자는 진정한 리더와 교양인은 한 분야에만 갇히지 않고, 다양한 학문을 익히고 폭넓은 경험을 통해 인격을 완성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어떤 한 가지 용도로만 쓰이는 그릇이 되지 말라고 강조하신 거랍니다. 스마트폰이 전화만 되는 게 아니라 사진도 찍고, 길도 찾아주고, 음악도 들려주는 것처럼, 우리도 한 가지만 잘하기보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여러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해요. 메모: 한 우물만 파는 전문가도 훌륭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배우는 자세가 더 큰 사람으로 성장하는 길이에요. 예문 여러 분야의 책을 골고루 읽으며 군자불기 의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리더는 한 가지 능력만 뛰어나서는 안 되며, 군자불기 의 자세로 모든 것을 아우를 줄 알아야 한다. 그는 과학자이면서도 예술에 조예가 깊어 군자불기 형 인재로 불린다. 한자: 君...

[오늘의 사자성어] 수기치인(修己治人): 나를 갈고닦아 세상을 이롭게 해요!

이미지
修 닦을 수 己 몸 기 治 다스릴 치 人 사람 인 먼저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하고 실력을 키운 뒤에, 다른 사람을 이끌고 세상을 이롭게 해야 한다 는 깊은 뜻을 담고 있어요. ··· ··· 修己治人 수기치인 자신을 닦고 남을 다스린다 풀이 '수기치인'은 훌륭한 리더가 되기 위한 순서를 알려주는 말이에요. 먼저 스스로의 몸과 마음을 갈고닦아 멋진 사람이 되고(수기), 그런 다음에 다른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주고 세상을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야(치인) 한다는 의미랍니다. 나 자신부터 바로 서야 다른 사람에게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뜻이죠. 배경/유래 아주 오래전 중국의 위대한 사상가인 공자님의 말씀에서 유래했어요. 제자 중 한 명인 '자로'가 "어떻게 해야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나요?"라고 물었어요. 그러자 공자님은 "먼저 자기 자신을 수양해서 다른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 주어야 한다."라고 대답하셨죠. 이 가르침은 훌륭한 리더가 되고 싶은 사람들에게 아주 중요한 지혜가 되었어요. 마치 식물을 키우는 것과 같아요. 먼저 씨앗인 나 자신에게 물도 주고 햇볕도 쬐어주며 건강하게 자라나야 해요. 그렇게 무럭무럭 자라서 튼튼한 나무가 되면, 다른 새들에게 쉼터를 만들어주고 사람들에게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줄 수 있잖아요? 이처럼 나를 먼저 가꾸는 것이 남을 돕는 첫걸음이라는 뜻이랍니다. 메모: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선 먼저 나 자신을 돌아보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가장 중요해요. 예문 우리 반 반장은 수기치인 의 자세로 먼저 모범을 보여 친구들의 신뢰를 얻었다. 위인전을 읽으며 장차 수기치인 의 정신을 실천하는 훌륭한 리더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아빠는 회사의 대표로서 수기치인 을 실천하기 위해 항상 먼저 배우고 노력하신다. 한자: 修(닦을 수) 己(몸 기) 治(다스릴 치) 人(사람 인) ...

[초등 사자성어] 과유불급(過猶不及)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過 지나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니 불 及 미칠 급 정도를 지나치는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너무 과하면 오히려 좋지 않다 는 의미예요. ··· ··· 過猶不及 과유불급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풀이 밥을 너무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나고, 운동을 너무 심하게 하면 몸이 다치는 것처럼,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나치면 부족한 것보다 못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항상 적당한 중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사상가 공자님에게 자공이라는 제자가 있었어요. 어느 날 자공이 공자님께 "스승님, 똑똑하고 적극적인 '자장'과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자하' 중에 누가 더 낫습니까?" 하고 여쭈었어요. 그러자 공자님은 "자장은 조금 지나치고, 자하는 조금 미치지 못한다."라고 대답하셨어요. 자공이 다시 "그럼 자장이 더 낫다는 말씀이신가요?" 하고 묻자, 공자님은 "아니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過猶不及)."라고 말씀하셨죠. 이 이야기에서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생겨났어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간의 길을 걷는 '중용'의 자세가 중요하는 것을 강조하는 말이랍니다. 메모: 밥도, 운동도, 공부도, 노는 것도! 뭐든지 '적당히' 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예문 엄마는 건강에 좋다고 너무 많이 먹으면 과유불급 이니 하루에 한 개씩만 먹으라고 하셨다. 친구를 돕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너무 참견하는 것은 과유불급 이 될 수 있다. 뭐든지 잘하고 싶은 마음에 너무 욕심을 부렸더니 오히려 일을 망쳤어. 과유불급 이라는 말을 잊지 말아야겠다. 한자: 過(지나칠 과) 猶(오히려 유) 不(아니 불) 及(미칠 급) 주제: 중용 · 절제 출처/...

[초등 사자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溫 따뜻할 온 故 옛 고 知 알 지 新 새 신 옛것을 충분히 배우고 익혀서,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안다는 뜻이에요. 과거의 지혜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만들어간다 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 ··· 溫故知新 온고지신 옛것을 익혀 새것을 알다 풀이 옛날의 지식이나 경험을 다시 공부하고 깊이 생각해서, 오늘날에 맞는 새로운 지식이나 방법을 찾아내는 것을 말해요. 단순히 옛날 것을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바탕으로 더 발전된 생각을 해내는 것이 중요해요. 배경/유래 아주 오래전 중국의 위대한 사상가인 공자님이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에서 유래했어요. 공자님은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면 다른 사람의 스승이 될 수 있다(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고 말씀하셨어요. 이 말은 옛 학문을 열심히 공부해서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든 후에,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이치를 깨달아야 비로소 다른 사람을 가르칠 수 있다는 뜻이에요. 옛날 사람들이 남긴 책을 읽고 그들의 지혜를 배우는 것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이야기랍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옛날이야기를 읽고 그 속에서 교훈을 얻어 오늘날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배우는 것도 '온고지신'이라고 할 수 있어요. 메모: 역사를 공부하고 위인들의 삶을 배우는 것은 미래를 더 지혜롭게 살아가는 데 큰 도움이 돼요. 예문 할머니의 옛날 요리법에 요즘 유행하는 재료를 더했더니 정말 맛있는 음식이 탄생했어. 이게 바로 온고지신 의 지혜가 아닐까? 박물관에 가서 옛날 물건들을 살펴보는 것은 온고지신 의 자세를 배우는 좋은 방법이다. 새로운 로봇을 만들기 위해 예전의 과학 기술을 다시 공부하며 온고지신 의 교훈을 깨달았다. 한자: 溫(따뜻할 온) 故(옛 고) 知(알 지) 新(새 신) 주제: 배움 · 지혜 출처/참고: 국어사전, ...

불치하문(不恥下問)

이미지
不 아니 불 恥 부끄러워할 치 下 아래 하 問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나이나 지위가 자기보다 낮은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의미예요. ··· ··· 不恥下問 불치하문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풀이 모르는 것이 있을 때, "이런 걸 물어보면 나를 무시하지 않을까?" 걱정하며 망설일 때가 있죠? '불치하문'은 나보다 나이가 어리거나, 학교 후배이거나, 어떤 분야에서 나보다 경험이 적은 사람에게라도 배울 점이 있다면 겸손하게 질문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멋진 말이에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에 공자라는 아주 위대한 학자가 있었어요. 공자에게는 '공어'라는 제자가 있었는데, 그는 죽은 후에 '문(文)'이라는 특별한 이름을 받았어요. 어느 날 다른 제자가 공자에게 "공어는 어떻게 '문'이라는 훌륭한 이름을 받을 수 있었나요?"라고 물었어요. 그러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그는 똑똑하고 배우기를 좋아했으며, 특히 자기보다 아랫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不恥下問). 그래서 '문'이라 부르는 것이다."라고 대답해주셨어요. 이 이야기에서 '불치하문'이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답니다. 진짜 지혜로운 사람은 모든 것을 다 안다고 뽐내는 사람이 아니라, 언제나 배우려는 자세를 가진 사람이랍니다. 모르는 것을 인정하고 질문하는 용기가 우리를 더 똑똑하게 만들어줘요. 메모: 질문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더 많이 알고 싶다는 용감한 표현이에요! 예문 사장님은 신입 사원에게도 모르는 것을 스스럼없이 물어보는 불치하문 의 자세를 가졌다. 불치하문 의 태도로 친구에게 수학 문제를 물어본 덕분에 시험을 잘 볼 수 있었어. 아무리 나이...

지란지교(芝蘭之交)

이미지
芝 지초 지 蘭 난초 란 之 갈 지 交 사귈 교 지초와 난초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과의 향기로운 우정 을 의미해요. ··· ··· 芝蘭之交 지란지교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 풀이 '지(芝)'는 지초, '란(蘭)'은 난초라는 식물로, 둘 다 아주 좋은 향기를 내뿜는 꽃이에요. '지교(之交)'는 친구 사이의 사귐을 뜻해요. 따라서 '지란지교'란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이라는 뜻으로, 서로에게 좋은 영향을 주며 함께 성장하는 고상하고 맑은 친구 관계를 말해요. 배경/유래 옛날 위대한 학자였던 공자님이 하신 말씀에서 유래했어요. "좋은 사람과 함께 지내는 것은, 마치 향기로운 지초와 난초가 가득한 방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 오래 그 안에 있으면 향기를 맡지 못하게 되는데, 이는 나 자신이 그 향기와 하나가 되었기 때문이다." 즉, 좋은 친구와 어울리면 그 친구의 좋은 점을 나도 모르게 닮아가게 된다는 뜻이에요. 마치 향기로운 꽃과 함께 있으면 내 몸에서도 좋은 향기가 나는 것처럼 말이죠. 이처럼 '지란지교'는 서로를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주는 아주 소중한 우정을 의미하게 되었답니다. 메모: 어떤 친구를 사귀는지는 정말 중요해요. 서로에게 좋은 향기를 풍겨주는 멋진 친구가 되어보세요. 예문 서로에게 좋은 책을 추천해주는 우리의 우정은 지란지교 와 같아. 그 두 사람은 서로를 발전시키는 지란지교 의 좋은 본보기이다. 나는 친구와 평생 변치 않는 지란지교 를 맺고 싶다. 한자: 芝(지초 지) 蘭(난초 란) 之(갈 지) 交(사귈 교) 주제: 우정 · 친구 · 성장 출처/참고: 국어사전, 공자가어(孔子家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