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어린이 한자인 게시물 표시

[초등 사자성어] 동상이몽(同床異夢)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同 같을 동 床 평상 상 異 다를 이 夢 꿈 몽 같은 침대에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은 생각, 같은 행동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으로는 각자 다른 생각이나 목표를 가지고 있는 상황 을 말해요. ··· ··· 同床異夢 동상이몽 같은 침대, 다른 꿈 풀이 함께 같은 공간에 있거나, 같은 일을 하고 있지만 마음속으로는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을 때 사용하는 말이에요. 예를 들어, 팀 프로젝트를 함께 하면서 한 명은 1등을 하고 싶어 하고, 다른 한 명은 빨리 끝내고 놀고 싶어 한다면 '동상이몽'인 상황이죠. 배경/유래 중국 송나라 시대에 진량이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그는 나라의 중요한 관리였는데, 당시 황제와 다른 신하들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많았어요. 그는 나라를 걱정하며 "조정에 있는 사람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여 있지만, 사실은 다들 같은 침대에 누워 다른 꿈을 꾸는 것과 같이 생각이 제각각이구나(同床異夢)"라고 한탄하며 글을 썼다고 해요. 이 이야기에서 '동상이몽'이라는 말이 유래되어, 함께하면서도 서로 다른 생각을 품고 있는 상태를 이르는 말로 널리 쓰이게 되었답니다. 메모: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는 서로의 생각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며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 중요해요. 예문 축구 경기에서 선수들이 서로 자기만 골을 넣으려고 하니, 우리 팀은 동상이몽 의 상태가 되어버렸다. 부모님은 내가 의사가 되길 바라셨지만 나는 화가가 되고 싶었으니, 우리는 동상이몽 을 하고 있었던 셈이다. 두 회사가 힘을 합쳤지만 각자 자기 회사의 이익만 생각해, 결국 동상이몽 으로 끝났다. 한자: 同(같을 동) 床(평상 상) 異(다를 이) 夢(꿈 몽) 주제: 관계 · 생각의 차이 출처/참고: 국어사전, 송사(宋史)

[초등 사자성어] 조삼모사(朝三暮四)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朝 아침 조 三 셋 삼 暮 저물 모 四 넷 사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준다는 뜻으로, 눈앞의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은 모르는 어리석음 을 비유하거나, 교묘한 꾀로 남을 속이는 것 을 의미해요. ··· ··· 朝三暮四 조삼모사 아침에 셋, 저녁에 넷 풀이 결과는 똑같은데 순서만 살짝 바꾸어 상대를 속이거나, 당장 눈앞에 보이는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는 상황을 말해요. 결국 하루에 받는 도토리 개수는 7개로 똑같은데, 원숭이들은 아침에 하나 더 받는다는 사실에만 기뻐한 것이죠. 배경/유래 옛날 중국 송나라에 원숭이를 아주 사랑하는 할아버지가 살았어요. 할아버지는 원숭이들을 많이 키워서 먹이가 부족해지자 고민에 빠졌어요. 그래서 원숭이들에게 말했죠. "이제부터 너희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씩 주겠다!" 그러자 원숭이들은 아침에 먹는 양이 줄었다며 화를 냈어요. 할아버지는 잠시 생각하더니 다시 말했어요. "그럼 너희 뜻대로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주겠다!" 원숭이들은 아침에 받는 도토리가 늘었다고 생각하며 무척 기뻐했다고 해요. 이 이야기에서 '조삼모사'라는 말이 생겨났답니다. 메모: 눈앞의 작은 이익이나 손해에 흔들리지 말고, 전체를 보고 생각하는 지혜가 필요해요. 예문 용돈을 하루에 천 원씩 주나 일주일에 칠천 원을 한 번에 주나 똑같은데, 친구는 매일 받는 게 이득이라며 조삼모사 의 모습을 보였다. 숙제를 오늘 하나 내일 하나 어차피 해야 할 총량은 같은데, 당장 안 한다고 좋아하는 것은 조삼모사 와 같다. 사장님이 월급은 그대로인데 휴가 날짜만 바꾸는 조삼모사 식의 제안을 했다. 한자: 朝(아침 조) 三(셋 삼) 暮(저물 모) 四(넷 사) 주제: 어리석음 · 속임수 출처/참고: 국어사전, 열자(列子)

[초등 사자성어] 십년감수(十年減壽)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十 열 십 年 해 년 減 덜 감 壽 목숨 수 10년의 수명이 줄어들었다는 뜻으로, 아주 위험한 상황을 겪고 겨우 살아났을 때 놀란 마음을 표현하는 말이에요. ··· ··· 十年減壽 십년감수 10년의 수명을 덜다 풀이 너무 깜짝 놀라거나 아찔한 순간을 겪으면 심장이 철렁 내려앉는 기분이 들죠? 마치 내 목숨이 10년이나 줄어든 것 같다는 느낌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에요. 실제로 수명이 줄어드는 건 아니지만, 그만큼 아찔하고 무서웠다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이랍니다. 배경/유래 '십년감수'는 특별한 이야기에서 유래된 말은 아니에요. 옛날부터 사람들이 위험하고 놀라운 일을 겪었을 때 "수명이 줄어드는 것 같아!"라고 말하던 것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졌어요. '10년'이라는 시간은 아주 긴 시간을 상징해요. 그래서 아주 잠깐의 위험한 순간이 마치 10년이라는 긴 수명을 앗아갈 만큼 충격적이었다는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답니다. 길을 건너는데 갑자기 쌩 하고 차가 지나가서 깜짝 놀랐을 때, 높은 곳에서 떨어질 뻔했을 때처럼 아찔한 순간에 사용할 수 있어요. 메모: 위험한 상황은 정말 수명을 줄일 수도 있으니, 항상 주변을 잘 살피고 조심하는 습관이 중요해요! 예문 어두운 골목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고양이 때문에 십년감수 했네. 롤러코스터가 꼭대기에서 잠시 멈췄을 때 정말 십년감수 하는 줄 알았다. 빙판길에서 미끄러져 넘어질 뻔한 할머니를 보고 내가 다 십년감수 했다. 한자: 十(열 십) 年(해 년) 減(덜 감) 壽(목숨 수) 주제: 놀람 · 위험 출처/참고: 국어사전, 위키백과

[초등 사자성어] 설상가상(雪上加霜)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雪 눈 설 上 윗 상 加 더할 가 霜 서리 상 눈이 내린 위에 서리까지 내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이 겹쳐서 일어나는 상황 을 말해요. '엎친 데 덮친 격'이라는 우리말 속담과 같아요. ··· ··· 雪上加霜 설상가상 눈 위에 서리가 더하다 풀이 차가운 눈이 쌓여 힘든데, 그 위에 또 차가운 서리가 내리면 더 힘들어지겠죠? 이처럼 '설상가상'은 안 좋은 일이 생겼는데, 또 다른 안 좋은 일이 연달아 일어날 때 사용하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중국의 한 스님이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주고 있었어요. 한 제자가 스님에게 어려운 질문을 하자, 다른 제자가 그 질문에 대해 쓸데없는 말을 덧붙였어요. 이것을 본 스님이 "눈 위에 서리를 더하는구나(雪上加霜)"라고 말했어요. 꼭 필요한 말이 아닌데 굳이 말을 보태 상황을 더 복잡하게 만드는 것을 빗대어 한 말이었죠. 시간이 흘러 이 말은 오늘날처럼 '나쁜 일이 겹쳐 일어나는 상황'을 의미하게 되었답니다. 예를 들어, 늦잠을 자서 학교에 지각했는데, 비까지 와서 옷이 흠뻑 젖는다면 '설상가상'인 상황이라고 할 수 있어요. 메모: 힘든 일이 겹쳐도 너무 좌절하지 마세요. 어려운 시기가 지나면 좋은 날이 올 거예요! 예문 숙제를 다 못했는데 필통까지 잃어버리니 정말 설상가상 이다. 길을 가다 넘어졌는데, 설상가상 으로 비까지 내리기 시작했다. 감기에 걸려 아픈데, 설상가상 으로 시험까지 겹쳐서 너무 힘든 한 주를 보냈다. 한자: 雪(눈 설) 上(윗 상) 加(더할 가) 霜(서리 상) 주제: 어려움 · 불행 출처/참고: 국어사전, 위키백과

작심삼일 (作心三日)

이미지
                    作         지을 작                     心         마음 심                     三         석 삼                     日         날 일               새해에 일기 쓰기를 결심했지만 3일 만에 그만두는 것처럼, 굳게 먹은 마음이 3일을 가지 못하고 금방 흐지부지된다 는 뜻이에요.     ··· 作心三日 작심삼일 마음먹은 지 사흘이 못 간다 풀이 어떤 일을 하기로 굳게 결심했지만, 그 결심이 오래가지 못하고 며칠 만에 그만두게 되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에요. 우리의 의지가 약해지기 쉽다는 것을 보여주는 표현이랍니다. 배경/유래 '작심삼일'이라는 말은 중국의 옛날이야기에서 나온 말은 아니에요. 옛날 우리나라 고려 시대에 나라의 정책이나 법이 자주 바뀌어서 "고려의 정책은 3일밖에 못 간다"는 말이 있었다고 해요. 여기서 유래하여 사람들이 무언가를 결심해도 3일을 넘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작심삼일'이라는 말을 쓰게 되었답니다.       새로운 목표를 세우는 것은 멋진 일이지만, 그것을 꾸준히 지켜나가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지요. '작심삼일'이라는 말을 기억하면서, 우리가 세운 계획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노력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해요. 3일마다 새로운 결심을 하면 결국 계속 나아갈 수 있겠죠? 메모: '작심삼일'이 되더라도 실망하지 말고,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고 도전하는 용기가 중요해요! ...

맥수지탄 (麥秀之嘆)

이미지
麥 보리 맥 秀 팰 수 之 갈 지 嘆 탄식할 탄 나라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무성하게 자란 보리밭을 보며 탄식한다는 뜻으로, 옛날의 화려했던 곳이 사라진 것을 보고 슬퍼하는 마음 을 말해요. ··· 麥秀之嘆 맥수지탄 보리가 자란 것을 보고 탄식하다 풀이 예전에 아주 멋지고 중요했던 장소가 없어지고, 그 흔적조차 찾기 힘들 때 느끼는 아쉬움과 슬픔을 표현하는 말이에요. 모든 것은 변한다는 사실을 알려주죠. 배경/유래 옛날 중국에 은나라라는 큰 나라가 망하고 새로운 나라가 세워졌어요. 은나라의 신하였던 '기자'라는 사람이 옛 수도를 지나가게 되었죠. 화려하고 웅장했던 궁궐은 온데간데없고, 그 자리에는 보리만 무성하게 자라고 있었어요. 이 모습을 본 기자는 너무 슬퍼서 눈물을 흘리며 노래를 불렀다고 해요. "보리 이삭은 무럭무럭 자라나고, 벼와 기장 잎은 푸르구나..." 이 노래에는 나라를 잃은 큰 슬픔이 담겨 있었어요. 여기서 '맥수지탄'이라는 말이 유래했답니다. 메모: 소중했던 장소나 물건이 사라졌을 때의 슬픔을 표현할 수 있어요. 예문 어릴 적 뛰어놀던 놀이터가 사라지고 아파트가 들어선 것을 보니 맥수지탄 의 심정이었다. 할아버지께서는 옛날 사진을 보시며 맥수지탄 에 잠기셨다. 자주 가던 문방구가 없어진 것을 보고 친구와 함께 맥수지탄 을 나누었다.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