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어휘력인 게시물 표시

[오늘의 사자성어] 학수고대(鶴首苦待), 목 빠지게 기다린다는 말을 한자로? (초등 눈높이 설명)

이미지
鶴 학 학 首 머리 수 苦 쓸 고 待 기다릴 대 학이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리는 것처럼, 애타게 누군가나 무언가를 기다린다 는 뜻이에요. ··· ··· 鶴首苦待 학수고대 학의 목처럼 길게 빼고 기다림 풀이 동물원에 가 본 적 있나요? 학은 목이 아주 길쭉한 새예요. '학수(鶴首)'는 '학의 목'이라는 뜻이고, '고대(苦待)'는 애타게 기다린다는 뜻이랍니다. 그래서 '학수고대'라고 하면, 마치 학이 목을 길게 빼고 먼 곳을 바라보며 무언가를 기다리는 것처럼 아주 간절하게 기다리는 마음을 표현하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 진나라 때의 일이에요. 도연명이라는 유명한 시인이 있었는데, 그의 친구가 멀리 다른 지역의 책임자가 되어 떠나게 되었어요. 친구가 떠난 후, 도연명은 그 친구를 너무나 그리워하며 날마다 친구가 있는 쪽을 바라보았어요. "학처럼 목을 길게 빼고 돌아올 친구를 기다리네"라는 시를 지어 친구를 향한 그리움을 표현했답니다. 이 이야기에서 '학수고대'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어요. 여름휴가를 기다리거나, 생일 선물을 기다릴 때, 또는 멀리 계신 할머니, 할아버지를 만날 날을 기다릴 때처럼 설레고 애타는 마음을 '학수고대'라는 말로 멋지게 표현해 볼 수 있겠죠? 메모: 간절히 기다리는 대상이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큰 기쁨과 설렘을 준답니다. 예문 나는 해외에 계신 부모님이 오실 날을 학수고대 하며 달력에 표시했다. 아이들은 크리스마스 아침에 산타 할아버지의 선물을 학수고대 했다. 우리는 모두가 함께 떠날 소풍날을 학수고대 하고 있다. 한자: 鶴(학 학) 首(머리 수) 苦(쓸 고) 待(기다릴 대) 주제: 기다림 · 그리움 출처/참고: 국어사전, 시문이야기

[오늘의 사자성어] 명실상부(名實相符), 이름값을 제대로 한다는 건 무슨 뜻일까? (초등 눈높이 설명)

이미지
名 이름 명 實 열매 실 相 서로 상 符 들어맞을 부 이름과 실제 모습이 서로 딱 들어맞는다는 뜻으로, 겉으로 알려진 명성이나 이름과 실제의 내용이나 실력이 똑같이 훌륭하다 는 의미예요. ··· ··· 名實相符 명실상부 이름과 실제가 서로 들어맞다 풀이 '국가대표 축구선수'라는 이름에 걸맞게 정말로 축구를 잘하거나, '꿀 사과'라는 이름처럼 사과가 정말 꿀맛일 때 '명실상부'라는 말을 사용할 수 있어요. 즉, 이름이나 소문이 헛되지 않고 실제 모습도 그만큼 대단하다는 칭찬의 의미로 쓰인답니다. 배경/유래 옛날에는 중요한 약속을 할 때, 나무나 옥으로 만든 패를 반으로 쪼개어 하나씩 나눠 가졌어요. 이 패를 '부신(符信)'이라고 불렀죠. 나중에 두 조각을 다시 합쳐봤을 때 딱 들어맞으면, 진짜 약속을 한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어요. '명실상부'의 '부(符)' 자가 바로 이 '부신'을 뜻해요. 이름(名)과 실제(實)가 이 '부신'처럼 서로(相) 딱 들어맞는다(符)는 데서 유래된 말이랍니다.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이름값을 제대로 할 때, 우리는 그 사람을 믿고 인정해 줄 수 있겠죠? 이름뿐만이 아니라 실력과 내용도 꽉 찬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해요. 메모: 겉모습이나 이름만 그럴듯한 것이 아니라, 그에 걸맞은 실력과 마음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요. 예문 그는 우리 반에서 달리기를 가장 잘해서 명실상부 한 우리 팀의 에이스다. 그 가수는 뛰어난 노래 실력으로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고의 가수로 인정받았다. 이 떡볶이 가게는 동네에서 제일 맛있어서 명실상부 최고의 맛집이다. 한자: 名(이름 명) 實(열매 실) 相(서로 상) 符(들어맞을 부) 주제: 칭찬 · 인정 출처/참고: 국어사전, 위키백과

[오늘의 사자성어] 각자도생(各自圖生), 스스로의 힘을 믿어봐! (초등 눈높이 설명)

이미지
各 각각 각 自 스스로 자 圖 꾀할 도 生 살 생 어려운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기 어려울 때,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갈 방법을 찾는 모습 을 뜻해요. ··· ··· 各自圖生 각자도생 각자 스스로 살아갈 길을 찾는다 풀이 '각자도생'은 '각각 스스로 살길을 꾀한다'는 뜻이에요. 놀이터에서 다 같이 놀다가 갑자기 비가 쏟아질 때, 저마다 집으로 뛰어가거나 비를 피할 곳을 스스로 찾는 것처럼,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지 않고 저마다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을 말해요. 배경/유래 '각자도생'이라는 말은 아주 오래전 조선시대 때 유래되었어요. 나라에 큰 전쟁이 나거나 심한 가뭄이 들어 먹을 것이 부족해지는 등 아주 힘든 시기가 있었어요. 이때 나라의 힘만으로는 모든 백성을 돌보기 어려워, "스스로 살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던 것에서 시작되었답니다. 슬픈 역사 속에서 생겨난 말이지만, 오늘날에는 어려운 상황을 스스로의 힘으로 이겨내려는 굳센 의지를 나타내는 말로도 쓰여요. 때로는 혼자 힘으로 어려움을 헤쳐나가야 할 때도 있어요. 무인도에 혼자 남겨진 로빈슨 크루소처럼, 스스로의 지혜와 용기로 살아남는 법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답니다. 메모: 함께 힘을 합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책임감을 기르는 것도 필요해요. 예문 시험공부를 할 때는 결국 각자도생 이야.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열심히 공부해야 해. 조별 과제에서 아무도 나서지 않자, 우리는 어쩔 수 없이 각자도생 으로 각자 맡은 부분을 해결했다.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각자도생 의 길을 찾아야만 했다. 한자: 各(각각 각) 自(스스로 자) 圖(꾀할 도) 生(살 생) 주제: 자립 · 생존 출처/참고: 국어사전, 조선왕조실록

초등학생 눈높이 사자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 - 입술과 이의 관계로 배우는 협력의 중요성!

이미지
脣 입술 순 亡 망할 망 齒 이 치 寒 찰 한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서로 가까운 관계 중 하나가 사라지면 다른 하나도 위태로워진다 는 의미예요. ··· ··· 脣亡齒寒 순망치한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 풀이 입술은 우리 이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죠? 만약 입술이 없다면 찬 바람이 불 때 이가 시리고 아플 거예요. 이처럼 서로 아주 가까워서, 한쪽이 어려움을 겪으면 다른 쪽도 그 영향을 받게 되는 관계를 말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랍니다.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중국에 '괵나라'와 '우나라'라는 이웃 나라가 있었어요. 힘이 센 '진나라'가 괵나라를 공격하고 싶었지만, 그러려면 꼭 우나라를 지나가야만 했죠. 그래서 진나라는 우나라 왕에게 "잠시 길만 빌려주시면 괵나라를 정복하고 얻은 보물을 나눠드릴게요"라고 꾀었어요. 우나라의 똑똑한 신하 '궁지기'는 "안 됩니다! 괵나라와 우리 우나라는 입술과 이 같은 사이입니다. 입술인 괵나라가 사라지면, 이빨인 우리 우나라도 결국 위험해질 것입니다(脣亡齒寒)."라며 반대했어요. 하지만 보물에 눈이 먼 우나라 왕은 신하의 말을 듣지 않고 길을 열어주었답니다. 결국 진나라는 괵나라를 멸망시킨 뒤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까지 공격해서 없애버렸어요. 이 이야기에서 '순망치한'이라는 말이 생겨났답니다. 메모: 나와 가깝게 지내는 친구나 이웃의 소중함을 생각하고, 어려울 때 서로 돕는 마음을 가져야 해요. 예문 앞집에 불이 나자 우리 집까지 위험해졌으니, 이야말로 순망치한 의 상황이었다. 단짝 친구가 전학을 가니 나까지 외로워지는 게 꼭 순망치한 같았다. 우리는 순망치한 의 관계이니, 힘을 합쳐 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 한자: 脣(입술 순) 亡(망할 망) 齒(이 치) 寒(찰 한) 주제: 관...

초등학생 눈높이 사자성어: 일망무제(一望無際) - 끝없이 펼쳐진 세상을 상상해봐요!

이미지
一 한 일 望 바라볼 망 無 없을 무 際 끝 제 한눈에 바라보아도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주 넓고 멀어서 끝이 없는 상태 를 말해요. ··· ··· 一望無際 일망무제 한눈에 보아 끝이 없다 풀이 넓은 바다나 드넓은 평야, 끝없는 사막처럼 아득하게 펼쳐져서 어디가 끝인지 알 수 없는 멋진 풍경을 보았을 때 사용하는 말이에요. 우리의 눈으로 한 번에 다 담을 수 없을 만큼 거대하고 광활한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배경/유래 '일망무제'는 특별한 이야기에서 유래된 말은 아니에요. 한자 뜻 그대로 '한 번(一) 바라보니(望) 끝(際)이 없다(無)'는 의미가 합쳐져 만들어진 사자성어랍니다. 옛날 사람들이 넓디넓은 세상을 바라보며 느꼈을 감탄과 경이로움이 담겨 있는 말이라고 할 수 있어요. 드넓은 자연 앞에 서면 우리 마음도 덩달아 넓어지는 기분이 들지 않나요? 메모: '일망무제'한 풍경을 보면 답답했던 마음이 뻥 뚫리는 듯한 시원함을 느낄 수 있어요. 예문 제주도 바닷가에 서니 일망무제 의 수평선이 펼쳐져 있었다. 비행기 창문 아래로 일망무제 의 구름 바다가 끝없이 이어졌다. 할아버지가 손수 가꾸신 논은 가을이 되자 황금빛으로 물들어 일망무제 를 이루었다. 한자: 一(한 일) 望(바라볼 망) 無(없을 무) 際(끝 제) 주제: 자연 · 풍경 출처/참고: 국어사전,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