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속담인 게시물 표시

[오늘의 사자성어] 학수고대(鶴首苦待), 목 빠지게 기다린다는 말을 한자로? (초등 눈높이 설명)

이미지
鶴 학 학 首 머리 수 苦 쓸 고 待 기다릴 대 학이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리는 것처럼, 애타게 누군가나 무언가를 기다린다 는 뜻이에요. ··· ··· 鶴首苦待 학수고대 학의 목처럼 길게 빼고 기다림 풀이 동물원에 가 본 적 있나요? 학은 목이 아주 길쭉한 새예요. '학수(鶴首)'는 '학의 목'이라는 뜻이고, '고대(苦待)'는 애타게 기다린다는 뜻이랍니다. 그래서 '학수고대'라고 하면, 마치 학이 목을 길게 빼고 먼 곳을 바라보며 무언가를 기다리는 것처럼 아주 간절하게 기다리는 마음을 표현하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 진나라 때의 일이에요. 도연명이라는 유명한 시인이 있었는데, 그의 친구가 멀리 다른 지역의 책임자가 되어 떠나게 되었어요. 친구가 떠난 후, 도연명은 그 친구를 너무나 그리워하며 날마다 친구가 있는 쪽을 바라보았어요. "학처럼 목을 길게 빼고 돌아올 친구를 기다리네"라는 시를 지어 친구를 향한 그리움을 표현했답니다. 이 이야기에서 '학수고대'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어요. 여름휴가를 기다리거나, 생일 선물을 기다릴 때, 또는 멀리 계신 할머니, 할아버지를 만날 날을 기다릴 때처럼 설레고 애타는 마음을 '학수고대'라는 말로 멋지게 표현해 볼 수 있겠죠? 메모: 간절히 기다리는 대상이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큰 기쁨과 설렘을 준답니다. 예문 나는 해외에 계신 부모님이 오실 날을 학수고대 하며 달력에 표시했다. 아이들은 크리스마스 아침에 산타 할아버지의 선물을 학수고대 했다. 우리는 모두가 함께 떠날 소풍날을 학수고대 하고 있다. 한자: 鶴(학 학) 首(머리 수) 苦(쓸 고) 待(기다릴 대) 주제: 기다림 · 그리움 출처/참고: 국어사전, 시문이야기

[초등 사자성어] 사필귀정(事必歸正)의 뜻, 정의는 반드시 승리해요! (쉬운 유래와 예문)

이미지
事 일 사 必 반드시 필 歸 돌아갈 귀 正 바를 정 무슨 일이든 결국에는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지금 당장은 잘못된 일이 이기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에는 정의가 승리한다 는 의미예요. ··· ··· 事必歸正 사필귀정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간다 풀이 처음에는 나쁜 일이 잘 풀리는 것처럼 보이거나, 착한 사람이 억울한 일을 당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사필귀정'은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세상의 모든 일은 결국 올바른 방향으로 제자리를 찾아간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어요. 거짓말이나 속임수는 언젠가 들통나고, 정의롭고 올바른 것이 결국에는 이긴다는 뜻이에요. 배경/유래 '사필귀정'은 특정한 한 사람의 이야기에서 나온 말은 아니에요. 옛날부터 많은 사람들이 살면서 옳고 그름이 항상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을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말이랍니다. 예를 들어, 힘이 센 사람이 약한 친구를 괴롭히면 당장은 힘센 사람이 이기는 것 같지만, 결국 선생님께 알려지거나 다른 친구들이 힘을 합쳐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게 되지요. 이런 경험들이 모여 '모든 일은 결국 바른길로 돌아온다'는 '사필귀정'이라는 지혜로운 말이 탄생하게 된 거예요. 동화 '흥부와 놀부'에서 욕심쟁이 놀부는 벌을 받고 착한 흥부는 복을 받는 것처럼, 세상의 이치가 결국 바른 쪽으로 흐른다는 것을 보여주는 말이에요. 메모: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잘못된 상황을 보더라도 희망을 잃지 말고, 올바른 길을 꾸준히 가는 것이 중요해요. 예문 거짓말로 친구를 속인 사실이 결국 밝혀졌으니, 역시 사필귀정 이다. 악당이 결국 벌을 받는 영화의 결말은 사필귀정 의 교훈을 보여준다. 오랜 재판 끝에 억울한 누명을 벗은 그를 보며 사람들은 사필귀정 이라고 말했다. 한자: 事(일 사) 必(반드시 필) 歸(돌아갈 귀) 正(바를...

[초등 사자성어] 과유불급(過猶不及)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過 지나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니 불 及 미칠 급 정도를 지나치는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너무 과하면 오히려 좋지 않다 는 의미예요. ··· ··· 過猶不及 과유불급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풀이 밥을 너무 많이 먹으면 배탈이 나고, 운동을 너무 심하게 하면 몸이 다치는 것처럼,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나치면 부족한 것보다 못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항상 적당한 중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사상가 공자님에게 자공이라는 제자가 있었어요. 어느 날 자공이 공자님께 "스승님, 똑똑하고 적극적인 '자장'과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자하' 중에 누가 더 낫습니까?" 하고 여쭈었어요. 그러자 공자님은 "자장은 조금 지나치고, 자하는 조금 미치지 못한다."라고 대답하셨어요. 자공이 다시 "그럼 자장이 더 낫다는 말씀이신가요?" 하고 묻자, 공자님은 "아니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過猶不及)."라고 말씀하셨죠. 이 이야기에서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생겨났어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간의 길을 걷는 '중용'의 자세가 중요하는 것을 강조하는 말이랍니다. 메모: 밥도, 운동도, 공부도, 노는 것도! 뭐든지 '적당히' 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예문 엄마는 건강에 좋다고 너무 많이 먹으면 과유불급 이니 하루에 한 개씩만 먹으라고 하셨다. 친구를 돕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너무 참견하는 것은 과유불급 이 될 수 있다. 뭐든지 잘하고 싶은 마음에 너무 욕심을 부렸더니 오히려 일을 망쳤어. 과유불급 이라는 말을 잊지 말아야겠다. 한자: 過(지나칠 과) 猶(오히려 유) 不(아니 불) 及(미칠 급) 주제: 중용 · 절제 출처/...

오비이락 (烏飛梨落)

이미지
烏 까마귀 오 飛 날 비 梨 배나무 이 落 떨어질 락 까마귀가 날아가자마자 배나무에서 배가 뚝 떨어지는 것처럼, 아무 상관없는 일이 우연히 같이 일어나 억울하게 의심받는 상황 을 뜻해요. ··· ··· 烏飛梨落 오비이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풀이 내가 한 일이 아닌데, 우연히 그 시간에 그 장소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오해를 받아서 억울한 상황에 쓰이는 말이에요. 까마귀는 그냥 날아갔을 뿐인데, 때마침 배가 떨어져서 마치 까마귀가 배를 떨어뜨린 것처럼 보이게 된 거죠. 배경/유래 '오비이락'은 특별한 옛날이야기에서 유래된 말이라기보다는, 우리나라 속담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를 한자로 옮긴 것이에요. 옛날 어느 농부가 배나무 밭에서 일을 하고 있었어요. 탐스럽게 익은 배를 보며 흐뭇해하고 있는데, 갑자기 배나무에 앉아있던 까마귀가 푸드덕 하고 날아올랐어요. 바로 그 순간, 잘 익은 배 한 개가 '툭' 하고 땅으로 떨어졌죠. 농부는 까마귀가 배를 쪼아 떨어뜨렸다고 생각하고 화를 냈지만, 사실 까마귀는 아무 잘못이 없었어요. 이처럼 어떤 일이 우연히 겹쳐 일어났을 때, 아무 잘못 없는 사람이 의심을 받게 되는 상황을 '오비이락'이라고 하게 되었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오해받을 만한 상황 자체를 만들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는 뜻으로도 이 말을 사용해요. 메모: 억울한 오해를 받지 않도록 평소에 행동을 조심하는 것이 중요해요. 예문 내가 교실에 들어오자마자 유리창이 깨져서, 오비이락 으로 내가 깬 것처럼 오해를 받았다. 동생이 과자를 몰래 먹고 나왔는데, 마침 내가 부엌에 들어가는 바람에 오비이락 격으로 엄마에게 혼이 났다. 축구공을 찬 것도 아닌데, 공이 내 쪽으로 굴러왔을 때 화분이 깨지는 오비이락 의 상황이 벌어졌다. 한자: 烏(까마귀 오) 飛(날 비) 梨(배나무 이) 落(떨어질 락...

근묵자흑 (近墨者黑)

이미지
近 가까울 근 墨 먹 묵 者 놈 자 黑 검을 흑 친구가 나쁜 장난을 치면 나도 모르게 따라하게 되는 것처럼, 주변 환경이나 함께하는 사람의 영향을 받아 성품이나 행동이 변한다 는 뜻이에요. ··· 近墨者黑 근묵자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 풀이 주변 환경이나 함께하는 사람의 영향을 받아 성품이 변한다는 의미입니다. 좋은 사람을 만나면 좋은 영향을 받고, 나쁜 사람을 만나면 나쁜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비유해요. 배경/유래 이 성어는 '흰 옷을 먹물에 가까이하면 검은색으로 물드는 것처럼, 사람도 어떤 환경에 놓여 있거나 어떤 사람들과 어울리느냐에 따라 변한다'는 자연의 이치에서 비롯되었어요. 옛날 사람들은 친구를 사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기 위해 이 말을 자주 썼습니다. 나쁜 친구와 어울리면 나쁜 습관에 물들기 쉽고, 좋은 친구와 함께하면 좋은 습관과 마음가짐을 배우게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요. 메모: 어떤 사람들과 함께 지내는지가 정말 중요해요. 좋은 친구를 사귀고 좋은 영향을 받도록 노력하세요! 예문 나쁜 장난을 치는 친구와 자꾸 어울리니, 나도 모르게 똑같이 따라하게 되었다. ' 근묵자흑 '이라는 말이 딱 맞았다. 선생님께서 "친구를 잘 사귀어야 한다"고 말씀하시며 ...

일석이조 (一石二鳥)

이미지
一 한 일 石 돌 석 二 두 이 鳥 새 조 방 청소를 했더니 방이 깨끗해지고 잃어버렸던 장난감도 찾은 것처럼, 한 가지 일을 해서 두 가지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 는 뜻이에요. ··· 一石二鳥 일석이조 돌 하나로 새 두 마리를 잡다 풀이 하나의 행동으로 동시에 두 가지 이득을 얻는 아주 효율적인 상황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배경/유래 이 말은 원래 영어 속담인 '돌멩이 하나로 두 마리 새를 잡는다(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에서 유래했어요. 옛날 어떤 사람이 돌멩이 하나를 던졌는데, 운 좋게도 날아가던 새 두 마리를 동시에 맞혀 잡았다는 상황에서 만들어진 말이죠. 적은 노력으로 기대 이상의 큰 효과를 보았을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아주 널리 쓰이게 되었답니다. 어떤 일을 할 때 조금만 더 지혜롭게 생각하면 한 번에 여러 가지 좋은 일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어요. 비슷한 말로 '일거양득(一舉兩得)'이 있어요. 메모: 어떤 일을 하기 전에 어떻게 하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습관을 가지면 좋아요. 예문 심부름으로 마트에 걸어갔더니 엄마도 돕고 운동도 되니 일석이조 였다. 동생에게 책을 읽어주니 동생도 즐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