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친구인 게시물 표시

[초등 사자성어] 이심전심(以心傳心)의 뜻과 유래 쉽게 배워요!

이미지
以 써 이 心 마음 심 傳 전할 전 心 마음 심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한다는 말로, 굳이 말로 하지 않아도 상대방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상태 를 뜻해요. ··· ··· 以心傳心 이심전심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하다 풀이 말이나 글을 사용하지 않고도, 눈빛이나 표정만으로 서로의 마음을 깊이 이해하고 통하는 것을 말해요. 아주 친한 친구나 가족 사이에서 자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교감을 의미한답니다. 배경/유래 이 말은 불교에서 유래되었어요. 옛날에 석가모니가 제자들을 모아놓고 가르침을 전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석가모니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냥 연꽃 한 송이를 조용히 들어 보였어요. 제자들은 스승님이 왜 저러시는지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고 어리둥절해했죠. 하지만 그중 '가섭'이라는 제자만이 그 뜻을 알아차리고 빙그레 미소를 지었어요. 그 미소를 본 석가모니는 "나의 깊은 깨달음은 말이나 글이 아닌 마음으로만 전할 수 있는데, 오직 가섭만이 그것을 깨달았다"고 말하며 자신의 가르침을 그에게 물려주었다고 해요. 이처럼 말없이 마음으로 진리를 전했다는 이야기에서 '이심전심'이라는 말이 생겨났답니다. 이 이야기는 '염화미소(拈華微笑)'라는 다른 사자성어로도 알려져 있어요. 메모: "나 지금 떡볶이 먹고 싶은데!"라고 생각한 순간, 친구가 "우리 떡볶이 먹으러 갈래?"라고 말할 때! 바로 그게 이심전심이에요. 예문 우리는 오랫동안 함께해서 그런지, 눈빛만 봐도 이심전심 으로 서로의 기분을 알 수 있다.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어떻게 알았어? 우리 사이에 이심전심 이 통했나 봐! 쌍둥이인 형제는 말하지 않아도 이심전심 으로 통하는 점이 많았다. 한자: 以(써 이) 心(마음 심) 傳(전할 전) 心(마음 심) 주제: 우정 · 교감 출처/참고: 국어사전...

단금지교(斷金之交)

이미지
斷 끊을 단 金 쇠 금 之 갈 지 交 사귈 교 단단한 쇠도 끊을 수 있는 사귐이라는 뜻으로, 아주 굳고 변치 않는 깊은 우정 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 ··· 斷金之交 단금지교 쇠를 자를 만큼 굳은 우정 풀이 '단금(斷金)'은 '쇠를 끊다', '지교(之交)'는 '사귐' 또는 '우정'을 뜻해요. 따라서 '단금지교'는 아주 단단한 쇠붙이도 끊어 버릴 만큼 강력한 우정을 의미해요. 친구와 마음이 하나로 합쳐지면 그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는 멋진 말이에요. 배경/유래 이 말은 아주 오래된 책인 '주역(周易)'에 나오는 글귀에서 유래했어요. 그 책에는 "두 사람이 마음을 함께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을 수 있다(二人同心 其利斷金)"라는 구절이 있어요. 이 말은 두 친구가 진심으로 마음을 합치면 마치 잘 드는 칼로 단단한 쇠를 자르는 것처럼 해내지 못할 일이 없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처럼 '단금지교'는 단순히 친한 사이를 넘어, 서로를 깊이 믿고 의지하며 어떤 시련이 닥쳐도 함께 이겨내는 매우 굳건하고 특별한 친구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 되었답니다. 메모: 친구와 힘을 합치면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어려운 일도 거뜬히 해낼 수 있어요. 예문 둘은 어릴 때부터 함께 온갖 역경을 헤쳐 온 단금지교 의 사이다. 우리의 우정은 영원한 단금지교 가 될 것이라고 맹세했다. 나라를 구한 두 영웅의 단금지교 는 후세에 길이 전해졌다. 한자: 斷(끊을 단) 金(쇠 금) 之(갈 지) 交(사귈 교) 주제: 우정 · 친구 · 믿음 출처/참고: 국어사전, 주역(周易)

백아절현(伯牙絶絃)

이미지
伯 맏 백 牙 어금니 아 絶 끊을 절 絃 줄 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자신을 알아주는 소중한 친구를 잃은 깊은 슬픔 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 ··· 伯牙絶絃 백아절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다 풀이 '백아(伯牙)'는 옛날 중국의 유명한 음악가 이름이고, '절현(絶絃)'은 악기의 줄을 끊어 버렸다는 뜻이에요. 즉, '백아절현'은 백아라는 사람이 자신의 악기 줄을 끊어 버렸다는 이야기로, 마음까지 완벽하게 알아주던 친구를 잃은 슬픔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처럼 나를 가장 잘 이해해주던 친구를 '지음(知音)'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거문고를 기가 막히게 잘 연주하는 '백아'라는 음악가가 있었어요. 그에게는 '종자기'라는 아주 특별한 친구가 있었죠. 종자기는 백아가 연주하는 음악을 듣고 그 마음을 정확하게 알아맞혔어요. 백아가 높은 산을 생각하며 연주하면, 종자기는 "와, 마치 태산처럼 높고 멋진 소리야!"라고 외쳤고, 흐르는 강을 생각하며 연주하면 "정말 넓은 강이 흐르는 것 같아!"라고 감탄했어요. 이렇게 종자기는 세상에서 유일하게 백아의 음악과 마음을 알아주는 친구였어요. 그런데 안타깝게도 종자기가 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어요. 너무나 슬펐던 백아는 친구의 무덤 앞에서 마지막으로 슬픈 곡을 연주한 뒤, 거문고의 줄을 모두 끊어 버리고 다시는 연주하지 않았다고 해요. 자신의 음악을 알아주는 단 한 사람이 사라졌으니, 더 이상 연주할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이 이야기에서 '백아절현'이라는 말이 생겨났답니다. 메모: 내 마음을 온전히 이해해 주는 친구는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물이에요. 예문 평생의 단짝을 잃은 그의 슬픔은 백아절현 의 고사와 같았다. ...

지란지교(芝蘭之交)

이미지
芝 지초 지 蘭 난초 란 之 갈 지 交 사귈 교 지초와 난초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과의 향기로운 우정 을 의미해요. ··· ··· 芝蘭之交 지란지교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 풀이 '지(芝)'는 지초, '란(蘭)'은 난초라는 식물로, 둘 다 아주 좋은 향기를 내뿜는 꽃이에요. '지교(之交)'는 친구 사이의 사귐을 뜻해요. 따라서 '지란지교'란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이라는 뜻으로, 서로에게 좋은 영향을 주며 함께 성장하는 고상하고 맑은 친구 관계를 말해요. 배경/유래 옛날 위대한 학자였던 공자님이 하신 말씀에서 유래했어요. "좋은 사람과 함께 지내는 것은, 마치 향기로운 지초와 난초가 가득한 방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 오래 그 안에 있으면 향기를 맡지 못하게 되는데, 이는 나 자신이 그 향기와 하나가 되었기 때문이다." 즉, 좋은 친구와 어울리면 그 친구의 좋은 점을 나도 모르게 닮아가게 된다는 뜻이에요. 마치 향기로운 꽃과 함께 있으면 내 몸에서도 좋은 향기가 나는 것처럼 말이죠. 이처럼 '지란지교'는 서로를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주는 아주 소중한 우정을 의미하게 되었답니다. 메모: 어떤 친구를 사귀는지는 정말 중요해요. 서로에게 좋은 향기를 풍겨주는 멋진 친구가 되어보세요. 예문 서로에게 좋은 책을 추천해주는 우리의 우정은 지란지교 와 같아. 그 두 사람은 서로를 발전시키는 지란지교 의 좋은 본보기이다. 나는 친구와 평생 변치 않는 지란지교 를 맺고 싶다. 한자: 芝(지초 지) 蘭(난초 란) 之(갈 지) 交(사귈 교) 주제: 우정 · 친구 · 성장 출처/참고: 국어사전, 공자가어(孔子家語)

관포지교(管鮑之交)

이미지
管 대롱 관 鮑 절인어물 포 之 갈 지 友 사귈 교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서로를 깊이 이해하고 믿어주는 아주 특별한 우정 을 의미해요. ··· ··· 管鮑之交 관포지교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 풀이 '관(管)'은 관중, '포(鮑)'는 포숙아라는 옛날 중국 사람의 이름이에요. '지교(之交)'는 '의 사귐' 즉, 우정을 뜻하죠. 따라서 '관포지교'는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이라는 말 그대로의 뜻으로, 친구의 상황과 마음을 깊이 헤아려주는 변치 않는 진한 우정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중국에 관중과 포숙아라는 친구가 있었어요. 관중은 가난했고 실수도 잦았지만, 포숙아는 한 번도 관중을 탓하지 않고 늘 그의 편이 되어주었어요. 예를 들어, 함께 장사를 해서 돈을 벌었을 때 관중이 더 많은 돈을 가져가도 포숙아는 "관중은 집이 가난해서 그래"라며 이해해주었어요. 또 관중이 전쟁터에서 도망쳤을 때 사람들은 그를 겁쟁이라고 놀렸지만, 포숙아는 "관중에게는 돌봐야 할 늙은 어머니가 계시기 때문이야"라며 감싸주었죠. 포숙아의 깊은 믿음 덕분에 관중은 나중에 아주 훌륭한 인물이 될 수 있었어요. 훗날 관중은 이렇게 말했답니다. "나를 낳아주신 분은 부모님이지만, 나를 진정으로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다!" 이들의 아름다운 우정에서 '관포지교'라는 말이 생겨났어요. 메모: 친구가 실수하거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비난하기보다 그 친구의 마음을 먼저 헤아려주는 것이 진정한 우정이에요. 예문 두 사람의 우정은 이 시대의 관포지교 라 할 만큼 매우 돈독하다. 나에게도 나의 모든 것을 이해해주는 관포지교 와 같은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어. 진정한 친구란 바로 관포지교 처럼 서로를 믿어주는 관계를 말한다. 한자: 管...

죽마고우 (竹馬故友)

이미지
竹 대 죽 馬 말 마 故 옛 고 友 벗 우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옛 친구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아주 친한 친구 를 의미해요. ··· ··· 竹馬故友 죽마고우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옛 친구 풀이 '죽마(竹馬)'는 대나무로 만든 말을 뜻해요. 옛날 아이들은 장난감으로 대나무 막대를 말처럼 타고 놀았어요. '고우(故友)'는 오랜 친구라는 뜻이고요. 즉, 어릴 적에 대나무 말을 함께 타고 놀았던 친구라는 의미로, 아주 오랫동안 모든 것을 터놓고 지내는 소중한 친구를 가리키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 진나라에 환온과 은호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그들은 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아주 친한 친구였죠. 하지만 어른이 되어서는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 때문에 사이가 멀어졌어요. 어느 날, 권력을 잡은 환온이 은호를 시기하여 그를 먼 곳으로 귀양 보냈어요. 그러고도 마음이 안 풀린 환온은 은호를 더욱 창피하게 만들고 싶었어요. 그는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은호가 어릴 때 타고 놀던 낡은 대나무 말을 보여주며 "이게 네가 타던 대나무 말이다!"라고 놀렸죠. 하지만 은호는 그것을 보고 옛 친구와 함께했던 즐거운 추억이 떠올라 눈물을 흘렸다고 해요. 이 이야기에서 '죽마고우'는 어릴 적 순수한 우정을 상징하는 말이 되었답니다. 메모: 어른이 되어 다투더라도 어릴 적 추억을 함께한 친구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물이에요. 예문 나와 민준이는 유치원 때부터 함께한 죽마고우 라서 비밀이 없어. 할아버지께서는 명절마다 죽마고우 분들을 만나러 고향에 가신다. 우리는 서로를 가장 잘 아는 죽마고우 같은 사이이다. 한자: 竹(대 죽) 馬(말 마) 故(옛 고) 友(벗 우) 주제: 우정 · 친구 출처/참고: 국어사전, 진서(晉書)

금란지교(金蘭之交)

이미지
金 쇠 금 蘭 난초 란 之 의 지 交 사귈 교 단단한 쇠(금)와 향기로운 난초(란) 같은 사귐이라는 뜻으로, 매우 깊고 소중한 친구 사이의 우정 을 의미해요. ··· ··· 金蘭之交 금란지교 쇠와 난초 같은 사귐 풀이 쇠(金)처럼 단단해서 아무리 어려운 일이 있어도 변하지 않고, 향기로운 난초(蘭)처럼 마음을 편안하고 기쁘게 해주는 친구 사이의 우정을 말해요. '둘도 없는 친구', '베스트 프렌드'처럼 마음이 잘 통하는 아주 특별한 친구 관계를 표현할 때 쓰는 아름다운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금란지교'는 중국의 아주 오래된 책인 '주역(周易)'에 나오는 말에서 유래했어요. 책에는 "두 사람이 마음을 함께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를 자를 수 있고, 마음을 함께한 말은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라는 구절이 있어요. 즉, 마음이 딱 맞는 친구가 함께 힘을 합치면 단단한 쇠도 끊을 수 있을 만큼 강한 힘이 생기고, 서로 나누는 진심 어린 이야기는 향기로운 난초처럼 주변을 아름답게 만든다는 뜻이죠. 이 말에서 '쇠(金)'와 '난초(蘭)'를 따와서 아주 돈독하고 깊은 우정을 '금란지교'라고 부르게 되었답니다. 메모: 여러분에게도 금란지교를 나눌 친구가 있나요? 힘들 때 힘이 되어주고, 기쁠 때 함께 웃어주는 소중한 친구를 떠올려 보세요. 예문 어린 시절부터 함께 자란 우리는 아무도 부러워하지 않을 금란지교 를 맺었다. 그 두 사람은 서로를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금란지교 의 사이다. 진정한 친구란 바로 금란지교 처럼 변치 않는 우정을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자: 金(쇠 금) 蘭(난초 란) 之(의 지) 交(사귈 교) 주제: 우정 · 관계 출처/참고: 국어사전, 주역

수어지교 (水魚之交)

이미지
水 물 수 魚 물고기 어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는 것처럼, 아주 친해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특별한 친구 사이 를 말해요. ··· 水魚之交 수어지교 물과 물고기의 사귐 풀이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아주 소중하고 친밀한 관계를 비유하는 말입니다. 주로 아주 친한 친구나 서로를 아끼는 군신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해요. 배경/유래 이 말은 중국의 유명한 역사 소설 '삼국지'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어요. 옛날 중국에 유비라는 임금이 있었는데, 아주 똑똑한 신하인 제갈량을 얻고 싶었어요. 유비는 제갈량을 만나기 위해 세 번이나 찾아가는 정성을 보였고, 마침내 제갈량은 유비의 신하가 되기로 했어요. 유비는 제갈량을 얻은 후 너무 기뻐서 항상 그와 함께하며 나라의 중요한 일을 의논했어요. 그러자 원래 함께했던 관우, 장비 같은 다른 장수들이 조금 질투를 했어요. 그때 유비가 이렇게 말했어요. "나에게 제갈량이 있는 것은, 마치 물고기에게 물이 있는 것과 같다!" 이 말에서 '수어지교'라는 사자성어가 생겨났답니다. 메모: 여러분에게도 물고기에게 물과 같은 소중한 친구가 있나요? 그런 친구를 꼭 아끼고 소중히 여기세요! 예문 나와 내 ...

근묵자흑 (近墨者黑)

이미지
近 가까울 근 墨 먹 묵 者 놈 자 黑 검을 흑 친구가 나쁜 장난을 치면 나도 모르게 따라하게 되는 것처럼, 주변 환경이나 함께하는 사람의 영향을 받아 성품이나 행동이 변한다 는 뜻이에요. ··· 近墨者黑 근묵자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 풀이 주변 환경이나 함께하는 사람의 영향을 받아 성품이 변한다는 의미입니다. 좋은 사람을 만나면 좋은 영향을 받고, 나쁜 사람을 만나면 나쁜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비유해요. 배경/유래 이 성어는 '흰 옷을 먹물에 가까이하면 검은색으로 물드는 것처럼, 사람도 어떤 환경에 놓여 있거나 어떤 사람들과 어울리느냐에 따라 변한다'는 자연의 이치에서 비롯되었어요. 옛날 사람들은 친구를 사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기 위해 이 말을 자주 썼습니다. 나쁜 친구와 어울리면 나쁜 습관에 물들기 쉽고, 좋은 친구와 함께하면 좋은 습관과 마음가짐을 배우게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요. 메모: 어떤 사람들과 함께 지내는지가 정말 중요해요. 좋은 친구를 사귀고 좋은 영향을 받도록 노력하세요! 예문 나쁜 장난을 치는 친구와 자꾸 어울리니, 나도 모르게 똑같이 따라하게 되었다. ' 근묵자흑 '이라는 말이 딱 맞았다. 선생님께서 "친구를 잘 사귀어야 한다"고 말씀하시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