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초등 한자인 게시물 표시

대동단결(大同團結) 뜻, 함께할 때 더 강해져요! | 초등학생을 위한 사자성어 이야기

이미지
大 클 대 同 한가지 동 團 둥글 단 結 맺을 결 많은 사람이나 여러 그룹이 같은 목표를 위해 하나로 힘을 합쳐 뭉치는 것 을 뜻해요. 서로 조금씩 다른 점은 잠시 잊고, 더 큰 뜻을 위해 함께 나아가는 거예요. ··· ··· 大同團結 대동단결 큰 뜻을 위해 하나로 뭉치다 풀이 '대동(大同)'은 '모두가 하나가 된다'는 뜻이고, '단결(團結)'은 '한 덩어리로 뭉친다'는 뜻이에요. 즉, '대동단결'은 많은 사람들이나 단체들이 작은 의견 차이를 넘어, 공동의 큰 목표를 이루기 위해 모두 함께 힘을 합치는 것을 의미해요. '우리'라는 이름으로 똘똘 뭉쳐서 더 큰 힘을 만들어내는 것이죠. 배경/유래 '대동'이라는 말은 아주 오래전 중국의 경전인 『예기(禮記)』에서 나왔어요. 이 책에서는 모든 사람이 욕심 없이 서로 도우며 한 가족처럼 평화롭게 사는 이상적인 사회를 '대동 사회'라고 불렀어요. 이후, '단결'이라는 말과 합쳐져 '대동단결'이라는 사자성어가 만들어졌어요. 특히 나라가 위기에 처했거나, 모든 사람의 힘을 모아야 하는 중요한 순간에 '사소한 다툼은 멈추고 더 큰 목표를 위해 하나로 뭉치자'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었답니다. 학교 운동회 때 청팀, 백팀으로 나뉘어 응원하는 모습을 떠올려 보세요. 같은 반이 아니더라도, 같은 팀의 승리를 위해 목청껏 응원하잖아요? 바로 그럴 때 우리가 '대동단결'하는 거예요! 메모: 혼자서는 이루기 힘든 일도, 모두가 대동단결하면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어요. 함께하는 힘은 정말 강하답니다! 예문 우리 반은 줄다리기 시합에서 이기기 위해 대동단결 하여 힘껏 줄을 당겼다. 어려운 이웃을 돕자는 소식에 온 마을 사람들이 대동단결 하여 나눔을 실천했다...

금과옥조(金科玉條) 뜻, 보물처럼 지켜야 할 나의 원칙 | 초등학생 필독 고사성어

이미지
金 쇠 금 科 과목 과 玉 구슬 옥 條 조목 조 금이나 옥처럼 아주 소중하게 여겨서 꼭 지켜야 하는 규칙이나 법률을 말해요. 절대로 어겨서는 안 되는 가장 중요한 약속 과 같아요. ··· ··· 金科玉條 금과옥조 금과 옥 같은 법규나 규정 풀이 '금과옥조'는 '금(金)으로 만든 법'과 '옥(玉)으로 만든 조항'이라는 뜻이에요. 금과 옥은 아주 귀한 보물이죠? 이처럼 보물처럼 소중하게 생각해서 꼭 지켜야 하는, 아주 중요한 규칙이나 약속을 가리키는 말이랍니다. 절대로 바꾸거나 어길 수 없는 중요한 원칙을 말할 때 사용해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 한나라에 양웅이라는 학자가 있었어요. 그는 옛 성인들이 만든 법과 제도가 아주 훌륭해서 백성들이 평화롭게 살 수 있었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훌륭한 법들을 "금과옥조"라고 표현했답니다. 금과 옥처럼 귀하고 완벽해서 영원히 지켜야 할 가치가 있다고 칭찬한 것이죠. 이로부터 '금과옥조'는 아주 소중히 여겨 반드시 지켜야 할 규범이나 교훈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어요. 우리에게도 '금과옥조'처럼 여기는 약속들이 있어요. '어른들께는 존댓말을 쓴다'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같은 것들이죠. 이런 소중한 약속들이 모여서 우리 사회를 더 아름답게 만든답니다. 메모: 나만의 '금과옥조'를 정해보세요. '하루에 한 번은 꼭 부모님을 웃게 해드리기' 같은 멋진 규칙도 좋아요! 예문 할머니의 "정직이 최고의 재산이다."라는 말씀은 우리 집안의 금과옥조 다. 그는 스승님의 가르침을 금과옥조 로 여기고 평생 마음에 새겼다. '안전 수칙을 반드시 지킨다'는 규칙은 우리 모두의 금과옥조 가 되어야 한다. 한자: 金(쇠...

군자불기(君子不器) 뜻, 한 가지 틀에 갇히지 않는 리더의 조건 | 초등학생 눈높이 고사성어 풀이

이미지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不 아닐 불 器 그릇 기 훌륭한 사람은 한 가지 용도로만 쓰이는 그릇과 같지 않다는 뜻으로, 다양한 재능과 넓은 마음을 가진 사람이 되어야 한다 는 의미예요. ··· ··· 君子不器 군자불기 군자는 그릇이 아니다 풀이 여기서 '그릇(器)'은 한 가지 쓰임새만 있는 도구를 뜻해요. 예를 들어 망치는 못을 박는 데만 쓰이죠. '군자불기'는 훌륭한 사람, 즉 '군자(君子)'는 망치처럼 한 가지 일만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여러 가지를 두루두루 잘하고 생각의 폭이 넓은 사람이라는 의미예요. 다방면에 재능이 있고 어떤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깊은 뜻을 담고 있어요. 배경/유래 아주 오래전 중국의 위대한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말씀에서 유래했어요. 공자는 제자들에게 "군자는 그릇과 같아서는 안 된다(君子不器)"라고 가르쳤어요. 당시에는 각자 맡은 한 가지 기술만 연마하는 전문가들이 많았는데, 공자는 진정한 리더와 교양인은 한 분야에만 갇히지 않고, 다양한 학문을 익히고 폭넓은 경험을 통해 인격을 완성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어떤 한 가지 용도로만 쓰이는 그릇이 되지 말라고 강조하신 거랍니다. 스마트폰이 전화만 되는 게 아니라 사진도 찍고, 길도 찾아주고, 음악도 들려주는 것처럼, 우리도 한 가지만 잘하기보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여러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해요. 메모: 한 우물만 파는 전문가도 훌륭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배우는 자세가 더 큰 사람으로 성장하는 길이에요. 예문 여러 분야의 책을 골고루 읽으며 군자불기 의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리더는 한 가지 능력만 뛰어나서는 안 되며, 군자불기 의 자세로 모든 것을 아우를 줄 알아야 한다. 그는 과학자이면서도 예술에 조예가 깊어 군자불기 형 인재로 불린다. 한자: 君...

[오늘의 사자성어] 망양지탄(望洋之嘆) 뜻, '우물 안 개구리'가 넓은 세상을 만났을 때!

이미지
望 바랄 망 洋 큰 바다 양 之 어조사 지 嘆 탄식할 탄 너무나 크고 대단한 것을 보고 자신의 부족함을 깨닫고 감탄하거나 탄식한다는 뜻이에요. ··· ··· 望洋之嘆 망양지탄 넓은 바다를 보고 탄식하다 풀이 넓고 큰 바다를 보고 "우와, 정말 대단하다!" 하고 놀라면서, 동시에 자신의 힘이나 능력이 아직 부족하다고 느끼는 마음을 말해요. 아주 위대한 사람을 만나거나, 자신의 힘으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큰 문제를 마주했을 때 사용되는 표현이에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황하라는 큰 강에 '하백'이라는 강의 신이 살고 있었어요. 하백은 자기가 다스리는 황하가 세상에서 가장 크고 넓다고 생각하며 무척 자랑스러워했죠. 그러던 어느 날, 강의 흐름을 따라 동쪽으로 여행을 떠났는데, 그 끝에서 끝없이 펼쳐진 거대한 북해(바다)를 마주하게 되었어요. 하백은 그 엄청난 크기에 입을 다물지 못하고 "나는 이제껏 황하가 최고인 줄 알았는데, 이렇게 넓은 세상이 있는 줄은 몰랐구나." 라며 탄식했어요. 이처럼 더 큰 세상을 보고 자신의 좁은 생각을 깨닫고 부끄러워했다는 이야기에서 '망양지탄'이라는 말이 유래되었답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는 교훈을 줘요. 내가 아는 것이 전부가 아닐 수 있다는 겸손한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해요. 메모: 세상은 넓고 배울 것은 끝이 없어요. 항상 겸손한 마음으로 새로운 것을 배우려는 자세가 중요해요. 예문 세계적인 발명가의 작품을 보니 내 아이디어가 초라하게 느껴져 망양지탄 의 심정이 들었다. 아무리 노력해도 따라잡을 수 없는 친구의 실력 앞에서 망양지탄 을 느꼈다. 거대한 우주의 신비를 다룬 다큐멘터리를 보니 절로 망양지탄 하게 된다. 한자: 望(바랄 망) 洋(큰 바다 양) 之(어조사 지) 嘆(탄식할...

청렴결백(淸廉潔白)

이미지
淸 맑을 청 廉 청렴할 렴 潔 깨끗할 결 白 흰 백 마음이 맑고 깨끗하며 욕심이 없다는 뜻으로, 성품과 행실이 아주 정직하고 흠이 없는 상태 를 의미해요. ··· ··· 淸廉潔白 청렴결백 맑고 깨끗하며 욕심이 없음 풀이 '청(淸)', '렴(廉)', '결(潔)', '백(白)' 네 글자는 모두 '맑고 깨끗하다'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마치 티 없이 하얀 옷이나 맑은 구슬처럼, 마음과 행동에 조금의 욕심이나 잘못도 없이 아주 깨끗한 사람을 '청렴결백하다'고 말해요. 특히 돈이나 지위를 이용해 나쁜 이익을 챙기지 않고, 항상 정직하고 바르게 사는 태도를 가리키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청렴결백'은 어떤 한 이야기에서 나온 말이라기보다는, 옛날부터 모든 사람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삶의 자세였어요. 특히 나라의 일을 하는 관리들에게는 가장 필요한 덕목이었죠. 조선 시대의 '황희 정승'은 청렴결백한 인물의 대표로 꼽혀요. 그는 아주 높은 벼슬인 영의정을 오랫동안 지냈지만, 비가 새는 낡은 초가집에 살았고, 입을 옷이 없어 솜이 삐져나온 낡은 옷을 입고 다닐 정도로 검소했어요.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자신을 위해 욕심을 부리지 않고 오직 나라와 백성을 위해 일했던 황희 정승의 삶이야말로 '청렴결백'의 좋은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답니다. 메모: 다른 사람의 물건을 탐내지 않고, 규칙을 잘 지키며 정직하게 행동하는 것이 바로 '청렴결백'한 삶의 시작이에요. 예문 그분은 평생을 청렴결백 하게 살아오셔서 모든 사람의 존경을 받는다. 판사는 그 누구보다 청렴결백 한 마음으로 공정한 판결을 내려야 한다.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서도 청렴결백 을 지키는 것은 매우 훌륭한 일이다. 한자: 淸(맑을 청) 廉(청렴할 렴) 潔(깨끗할 ...

군자삼락(君子三樂)

이미지
君 임금 군 子 아들 자 三 석 삼 樂 즐길 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마음이 바르고 훌륭한 사람이 느끼는 인생의 큰 기쁨 세 가지 를 의미해요. ··· ··· 君子三樂 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풀이 '군자(君子)'는 학식과 인품이 아주 훌륭한 사람을 뜻해요. '삼락(三樂)'은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이죠. 즉, '군자삼락'은 훌륭한 사람이 누리는 세 가지 큰 즐거움을 말해요. 돈이 많거나 높은 자리에 오르는 것이 아닌, 진정으로 가치 있는 행복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해주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이 말은 중국의 위대한 사상가인 '맹자'가 한 말에서 유래했어요. 맹자는 왕이 되어 온 세상을 다스리는 것도 진정한 즐거움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군자의 세 가지 진짜 즐거움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어요. 첫 번째 즐거움: 부모님이 모두 건강하게 살아계시고, 형제자매들이 아무 탈 없이 잘 지내는 것. 두 번째 즐거움: 하늘을 우러러보아도 부끄러움이 없고, 사람들을 대할 때도 떳떳한 것. 세 번째 즐거움: 세상의 뛰어난 인재들을 얻어 가르치고 이끌어주는 것. 맹자는 가족의 화목함, 정직하고 떳떳한 마음, 그리고 다른 사람의 성장을 돕는 보람이 인생에서 가장 큰 행복이라고 생각했던 거예요. 메모: 돈이나 명예보다 더 소중한 가치가 많아요. 나의 진짜 즐거움은 무엇인지 한번 생각해보세요. 예문 부모님과 형제들이 모두 건강한 것이야말로 군자삼락 의 첫 번째 기쁨이다. 선생님은 훌륭한 제자들을 키워내는 것에서 군자삼락 의 보람을 느끼신다고 했다. 그는 평생을 정직하게 살아왔기에 군자삼락 의 두 번째 즐거움을 마음껏 누렸다. 한자: 君(임금 군) 子(아들 자) 三(석 삼) 樂(즐길 락) 주제: 행복 · 즐거움 · 보람 출처/참고: 국어사전, 맹자(孟子)

동심협력(同心協力)

이미지
同 같을 동 心 마음 심 協 화합할 협 力 힘 력 같은 마음으로 서로 힘을 합친다는 뜻으로, 하나의 목표를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아 함께 노력하는 것 을 의미해요. ··· ··· 同心協力 동심협력 같은 마음으로 힘을 합치다 풀이 '동심(同心)'은 '같은 마음'을, '협력(協力)'은 '힘을 합쳐 돕는다'는 뜻이에요. 따라서 '동심협력'은 여러 사람이 같은 목표를 가지고 마음과 힘을 하나로 모아 함께 애쓰는 것을 말해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팀워크'와 아주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죠. 혼자서는 어려운 일도 함께하면 쉽게 해낼 수 있다는 뜻이에요. 배경/유래 '동심협력'은 특별한 한 가지 이야기에서 유래한 말은 아니에요. 하지만 옛날부터 여러 책에서 '마음을 같이하는 것(同心)'과 '힘을 합치는 것(協力)'의 중요성을 이야기했어요. 예를 들어 운동회 때 줄다리기를 생각해볼까요? 여러 친구들이 "영차, 영차!" 구령에 맞춰 똑같은 마음으로 동시에 힘을 주어야 이길 수 있죠. 만약 마음이 맞지 않아 각자 다른 타이밍에 힘을 주면 금방 지고 말 거예요. 이처럼 어떤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모두가 같은 뜻을 품고 서로의 힘을 합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말이랍니다. 메모: 학교에서 모둠 활동을 하거나 친구들과 단체 경기를 할 때, '동심협력'의 자세를 가진다면 분명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예문 우리 반 친구들은 동심협력 하여 교실을 깨끗하게 청소했다.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온 마을 사람들이 동심협력 했다. 축구팀은 동심협력 하여 마침내 경기에서 승리했다. 한자: 同(같을 동) 心(마음 심) 協(화합할 협) 力(힘 력) 주제: 팀워크 · 협동 ·...

일편단심(一片丹心)

이미지
一 한 일 片 조각 편 丹 붉을 단 心 마음 심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오직 한 사람 또는 한 가지를 향한 변치 않는 참된 마음 을 의미해요. ··· ··· 一片丹心 일편단심 한 조각의 붉은 마음 풀이 '일편(一片)'은 한 조각, '단심(丹心)'은 붉고 참된 마음을 뜻해요. 그래서 '일편단심'은 한결같이 변하지 않는 진실한 마음을 가리키는 말이에요. 주로 나라를 향한 충성심이나 한 사람을 향한 사랑처럼, 그 어떤 유혹이나 어려움에도 흔들리지 않는 굳은 마음을 표현할 때 사용해요. 배경/유래 '일편단심'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고려 시대의 충신 '정몽주'예요. 고려가 힘을 잃고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가 세워지려 할 때, 조선을 세우려던 이방원은 정몽주에게 함께하자고 제안했어요. 하지만 정몽주는 끝까지 고려 왕을 향한 충성심을 지키고 싶었죠. 그는 자신의 굳은 마음을 '단심가(丹心歌)'라는 시에 담아 표현했어요. "이 몸이 죽고 죽어 백 번이나 다시 죽더라도, 내 뼈가 흙이 되고 영혼이 사라지더라도, 임을 향한 나의 붉은 마음(일편단심)은 절대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결국 정몽주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다 죽음을 맞이했지만, 그의 꺾이지 않는 충성심은 '일편단심'이라는 말과 함께 오늘날까지 많은 사람에게 큰 교훈을 주고 있답니다. 메모: 내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나 꿈을 향해 '일편단심'의 마음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예문 어머니의 자식을 향한 사랑은 그야말로 일편단심 이다. 그는 첫사랑을 잊지 못하고 일편단심 으로 기다렸다. 위인전에는 나라를 위한 일편단심 을 지킨 영웅들의 이야기가 많다. 한자: 一(한 일) 片(조각 편) 丹(붉을 단) 心(마음 심) 주제: 충성 · 사랑 · 마음 출...

수구초심(首丘初心)

이미지
首 머리 수 丘 언덕 구 初 처음 초 心 마음 심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고향 언덕 쪽으로 둔다는 뜻으로, 근본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을 의미해요. ··· ··· 首丘初心 수구초심 근본을 잊지 않는 처음의 마음 풀이 '수구(首丘)'는 여우가 죽을 때 자신이 살던 언덕 쪽으로 머리를 돌린다는 옛이야기에서 나온 말이에요. 이는 자신의 고향이나 근본을 잊지 않는 마음을 뜻해요. '초심(初心)'은 맨 처음 가졌던 마음을 의미하죠. 따라서 '수구초심'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또는 어떤 일을 시작할 때 가졌던 순수한 열정과 겸손한 마음을 잊지 않으려는 다짐을 나타내는 말로 쓰여요. 배경/유래 아주 오래된 책인 '예기(禮記)'에 "여우는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이 있는 언덕 쪽으로 바르게 향한다."는 글이 있어요. 여우 같은 동물도 자신의 뿌리를 잊지 않는다는 뜻이죠. 사람이라면 당연히 자신이 태어난 곳과 부모님의 은혜, 그리고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주기 위해 이 말을 사용하게 되었어요. 즉, '수구초심'은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답니다. 첫째는 고향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마음, 둘째는 시간이 흘러 성공하거나 나태해지더라도 처음의 순수하고 열정적인 마음을 잃지 말자는 다짐이에요. 메모: 새로운 학년을 시작할 때의 설레는 마음, 꿈을 향해 처음 도전할 때의 뜨거운 열정을 잊지 마세요. 그것이 바로 여러분의 '초심'이에요. 예문 해외에서 오랫동안 생활하신 할아버지는 늘 수구초심 의 마음으로 고향을 그리워하셨다. 큰 성공을 거둔 그는 수구초심 을 잃지 않기 위해 매일 아침 처음의 다짐을 되새겼다. 선생님께서는 우리에게 늘 수구초심 의 자세로 겸손하게 행동하라고 가르치셨다. 한자: 首(머리 수) 丘...

문경지교(刎頸之交)

이미지
刎 목 벨 문 頸 목 경 之 갈 지 交 사귈 교 목이 베어져도 후회하지 않을 만큼 친한 친구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고락을 함께할 수 있는 막역한 사이 를 의미해요. ··· ··· 刎頸之交 문경지교 목숨을 내놓을 수 있는 우정 풀이 '문경(刎頸)'은 '목을 벤다'는 조금 무서운 뜻이지만, 그만큼 '목숨을 내놓을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지교(之交)'는 우정을 뜻하고요. 따라서 '문경지교'란 친구를 위해서라면 내 목숨도 아깝지 않을 정도의 매우 깊고 진한 우정을 말해요. 서로를 위해 어떤 위험도 함께 맞설 수 있는 최고의 친구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 조나라에 용감한 장군 '염파'와 지혜로운 신하 '인상여'가 있었어요. 처음엔 염파 장군이 인상여를 무척 미워했어요. 자신은 목숨을 걸고 싸워 나라를 지켰는데, 인상여는 말 몇 마디로 자신보다 높은 자리에 올랐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그래서 염파는 인상여를 만나면 망신을 주겠다고 벼르고 다녔어요. 이 소식을 들은 인상여는 염파를 피했어요. 사람들은 인상여를 겁쟁이라고 놀렸지만, 그는 이렇게 말했어요. "강한 진나라가 우리를 공격하지 못하는 이유는 염파 장군과 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우리 둘이 싸운다면 나라가 위험해질 것입니다. 나라의 위기보다 제 개인적인 창피함이 더 중요하겠습니까?" 이 말을 전해 들은 염파는 자신의 생각이 짧았음을 깨닫고 크게 부끄러워했어요. 그는 웃통을 벗고 가시나무를 등에 짊어진 채 인상여를 찾아가 진심으로 용서를 빌었어요. 인상여는 그를 따뜻하게 용서해주었고, 그날 이후 두 사람은 서로를 위해 목숨도 바칠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 친한 친구, 즉 '문경지교'가 되었답니다. 메모: 진정한 용서는 오해와 미움을 커다란 우정으로 바꿀 수...

단금지교(斷金之交)

이미지
斷 끊을 단 金 쇠 금 之 갈 지 交 사귈 교 단단한 쇠도 끊을 수 있는 사귐이라는 뜻으로, 아주 굳고 변치 않는 깊은 우정 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 ··· 斷金之交 단금지교 쇠를 자를 만큼 굳은 우정 풀이 '단금(斷金)'은 '쇠를 끊다', '지교(之交)'는 '사귐' 또는 '우정'을 뜻해요. 따라서 '단금지교'는 아주 단단한 쇠붙이도 끊어 버릴 만큼 강력한 우정을 의미해요. 친구와 마음이 하나로 합쳐지면 그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는 멋진 말이에요. 배경/유래 이 말은 아주 오래된 책인 '주역(周易)'에 나오는 글귀에서 유래했어요. 그 책에는 "두 사람이 마음을 함께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을 수 있다(二人同心 其利斷金)"라는 구절이 있어요. 이 말은 두 친구가 진심으로 마음을 합치면 마치 잘 드는 칼로 단단한 쇠를 자르는 것처럼 해내지 못할 일이 없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처럼 '단금지교'는 단순히 친한 사이를 넘어, 서로를 깊이 믿고 의지하며 어떤 시련이 닥쳐도 함께 이겨내는 매우 굳건하고 특별한 친구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 되었답니다. 메모: 친구와 힘을 합치면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어려운 일도 거뜬히 해낼 수 있어요. 예문 둘은 어릴 때부터 함께 온갖 역경을 헤쳐 온 단금지교 의 사이다. 우리의 우정은 영원한 단금지교 가 될 것이라고 맹세했다. 나라를 구한 두 영웅의 단금지교 는 후세에 길이 전해졌다. 한자: 斷(끊을 단) 金(쇠 금) 之(갈 지) 交(사귈 교) 주제: 우정 · 친구 · 믿음 출처/참고: 국어사전, 주역(周易)

백아절현(伯牙絶絃)

이미지
伯 맏 백 牙 어금니 아 絶 끊을 절 絃 줄 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자신을 알아주는 소중한 친구를 잃은 깊은 슬픔 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 ··· 伯牙絶絃 백아절현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다 풀이 '백아(伯牙)'는 옛날 중국의 유명한 음악가 이름이고, '절현(絶絃)'은 악기의 줄을 끊어 버렸다는 뜻이에요. 즉, '백아절현'은 백아라는 사람이 자신의 악기 줄을 끊어 버렸다는 이야기로, 마음까지 완벽하게 알아주던 친구를 잃은 슬픔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처럼 나를 가장 잘 이해해주던 친구를 '지음(知音)'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거문고를 기가 막히게 잘 연주하는 '백아'라는 음악가가 있었어요. 그에게는 '종자기'라는 아주 특별한 친구가 있었죠. 종자기는 백아가 연주하는 음악을 듣고 그 마음을 정확하게 알아맞혔어요. 백아가 높은 산을 생각하며 연주하면, 종자기는 "와, 마치 태산처럼 높고 멋진 소리야!"라고 외쳤고, 흐르는 강을 생각하며 연주하면 "정말 넓은 강이 흐르는 것 같아!"라고 감탄했어요. 이렇게 종자기는 세상에서 유일하게 백아의 음악과 마음을 알아주는 친구였어요. 그런데 안타깝게도 종자기가 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어요. 너무나 슬펐던 백아는 친구의 무덤 앞에서 마지막으로 슬픈 곡을 연주한 뒤, 거문고의 줄을 모두 끊어 버리고 다시는 연주하지 않았다고 해요. 자신의 음악을 알아주는 단 한 사람이 사라졌으니, 더 이상 연주할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이 이야기에서 '백아절현'이라는 말이 생겨났답니다. 메모: 내 마음을 온전히 이해해 주는 친구는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물이에요. 예문 평생의 단짝을 잃은 그의 슬픔은 백아절현 의 고사와 같았다. ...

세한삼우(歲寒三友)

이미지
歲 해 세 寒 찰 한 三 석 삼 友 벗 우 추운 계절의 세 친구라는 뜻으로, 어려움 속에서도 굴하지 않는 굳은 절개와 우정 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 ··· 歲寒三友 세한삼우 추운 겨울의 세 친구 풀이 '세한(歲寒)'은 '추운 겨울'을, '삼우(三友)'는 '세 명의 친구'를 뜻해요. 그럼 겨울의 세 친구는 누구일까요? 바로 소나무, 대나무, 매화나무랍니다. 다른 식물들이 모두 잎을 떨구는 추운 겨울에도 소나무와 대나무는 푸르름을 잃지 않고, 매화는 눈 속에서 꽃을 피워내요. 이처럼 '세한삼우'는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원칙과 소신을 지키는 꿋꿋한 마음이나 변치 않는 우정을 상징하는 말로 쓰여요. 배경/유래 옛날 선비들은 추운 겨울에도 꿋꿋하게 견디는 세 식물의 모습을 보며 많은 것을 배웠어요. - 소나무: 사계절 내내 푸른 잎을 자랑하며 변치 않는 굳은 의지를 상징해요. - 대나무: 곧게 뻗은 줄기는 정직함을, 속이 빈 모습은 욕심 없는 마음을, 휘어져도 부러지지 않는 모습은 강인함을 뜻해요. - 매화나무: 아직 추위가 가시지 않은 이른 봄에 가장 먼저 꽃을 피워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알려줘요. 이 세 식물은 추위라는 시련을 함께 이겨내는 친구와 같다고 해서 '세한삼우'라고 불리게 되었어요. 옛날 화가들은 이 세 식물을 함께 그리는 것을 즐겼고, 글을 쓰는 선비들은 세한삼우처럼 살겠다고 다짐하곤 했답니다. 메모: 힘들고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세한삼우처럼 꿋꿋하게 이겨내고 친구의 곁을 지켜주는 사람이 되어보세요. 예문 할아버지의 서재에는 세한삼우 가 그려진 그림이 걸려 있다. 옛 선비들은 세한삼우 를 보며 굳은 절개를 지키고자 했다. 추운 겨울에도 푸른 소나무는 세한삼우 의 대표적인 상징이다. 한자: 歲(해 세) 寒(찰 한) 三(석 삼) 友(벗...

형설지공(螢雪之功)

이미지
螢 반딧불 형 雪 눈 설 之 갈 지 功 공 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환경을 이겨내고 열심히 공부하여 얻은 성공 을 의미해요. ··· ··· 螢雪之功 형설지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성공 풀이 '형(螢)'은 반딧불, '설(雪)'은 눈을 뜻해요. 그리고 '지공(之功)'은 '그것으로 이룬 공'이라는 뜻이죠. 즉, '형설지공'은 반딧불과 눈의 빛에 의지해 공부하며 이룬 공로라는 의미로,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면 마침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교훈을 주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형설지공'은 두 사람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어요. 첫 번째는 중국 진나라의 '차윤'이라는 사람 이야기예요. 그는 너무 가난해서 밤에 책을 밝힐 등불의 기름을 살 돈이 없었어요. 하지만 공부를 포기할 수 없었던 차윤은 여름밤마다 수십 마리의 반딧불이를 잡아 주머니에 넣고, 그 희미한 빛으로 책을 읽었답니다. 두 번째는 '손강'이라는 사람 이야기예요. 그 역시 매우 가난해서 등불을 켤 수 없었어요. 손강은 추운 겨울밤, 창가에 쌓인 하얀 눈이 달빛에 반사되어 밝게 빛나는 것을 이용해 책을 읽었어요. 훗날 사람들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배움을 멈추지 않았던 두 사람의 노력을 기리기 위해 그들의 이야기를 합쳐 '형설지공'이라는 말을 만들었답니다. 두 사람 모두 나중에 큰 학자가 되었어요! 메모: 환경이 어렵다고 꿈을 포기해서는 안 돼요. 굳은 의지만 있다면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어요. 예문 그는 형설지공 의 노력 끝에 마침내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다. 위인전에는 형설지공 으로 어려움을 이겨내고 훌륭한 사람이 된 이야기가 많다. 할머니께서는 형설지공 으로 배운 지식은 절대 잊히지 않는다고 말씀하셨...

지란지교(芝蘭之交)

이미지
芝 지초 지 蘭 난초 란 之 갈 지 交 사귈 교 지초와 난초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과의 향기로운 우정 을 의미해요. ··· ··· 芝蘭之交 지란지교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 풀이 '지(芝)'는 지초, '란(蘭)'은 난초라는 식물로, 둘 다 아주 좋은 향기를 내뿜는 꽃이에요. '지교(之交)'는 친구 사이의 사귐을 뜻해요. 따라서 '지란지교'란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이라는 뜻으로, 서로에게 좋은 영향을 주며 함께 성장하는 고상하고 맑은 친구 관계를 말해요. 배경/유래 옛날 위대한 학자였던 공자님이 하신 말씀에서 유래했어요. "좋은 사람과 함께 지내는 것은, 마치 향기로운 지초와 난초가 가득한 방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 오래 그 안에 있으면 향기를 맡지 못하게 되는데, 이는 나 자신이 그 향기와 하나가 되었기 때문이다." 즉, 좋은 친구와 어울리면 그 친구의 좋은 점을 나도 모르게 닮아가게 된다는 뜻이에요. 마치 향기로운 꽃과 함께 있으면 내 몸에서도 좋은 향기가 나는 것처럼 말이죠. 이처럼 '지란지교'는 서로를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주는 아주 소중한 우정을 의미하게 되었답니다. 메모: 어떤 친구를 사귀는지는 정말 중요해요. 서로에게 좋은 향기를 풍겨주는 멋진 친구가 되어보세요. 예문 서로에게 좋은 책을 추천해주는 우리의 우정은 지란지교 와 같아. 그 두 사람은 서로를 발전시키는 지란지교 의 좋은 본보기이다. 나는 친구와 평생 변치 않는 지란지교 를 맺고 싶다. 한자: 芝(지초 지) 蘭(난초 란) 之(갈 지) 交(사귈 교) 주제: 우정 · 친구 · 성장 출처/참고: 국어사전, 공자가어(孔子家語)

관포지교(管鮑之交)

이미지
管 대롱 관 鮑 절인어물 포 之 갈 지 友 사귈 교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서로를 깊이 이해하고 믿어주는 아주 특별한 우정 을 의미해요. ··· ··· 管鮑之交 관포지교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 풀이 '관(管)'은 관중, '포(鮑)'는 포숙아라는 옛날 중국 사람의 이름이에요. '지교(之交)'는 '의 사귐' 즉, 우정을 뜻하죠. 따라서 '관포지교'는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이라는 말 그대로의 뜻으로, 친구의 상황과 마음을 깊이 헤아려주는 변치 않는 진한 우정을 비유하는 말이에요.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중국에 관중과 포숙아라는 친구가 있었어요. 관중은 가난했고 실수도 잦았지만, 포숙아는 한 번도 관중을 탓하지 않고 늘 그의 편이 되어주었어요. 예를 들어, 함께 장사를 해서 돈을 벌었을 때 관중이 더 많은 돈을 가져가도 포숙아는 "관중은 집이 가난해서 그래"라며 이해해주었어요. 또 관중이 전쟁터에서 도망쳤을 때 사람들은 그를 겁쟁이라고 놀렸지만, 포숙아는 "관중에게는 돌봐야 할 늙은 어머니가 계시기 때문이야"라며 감싸주었죠. 포숙아의 깊은 믿음 덕분에 관중은 나중에 아주 훌륭한 인물이 될 수 있었어요. 훗날 관중은 이렇게 말했답니다. "나를 낳아주신 분은 부모님이지만, 나를 진정으로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다!" 이들의 아름다운 우정에서 '관포지교'라는 말이 생겨났어요. 메모: 친구가 실수하거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비난하기보다 그 친구의 마음을 먼저 헤아려주는 것이 진정한 우정이에요. 예문 두 사람의 우정은 이 시대의 관포지교 라 할 만큼 매우 돈독하다. 나에게도 나의 모든 것을 이해해주는 관포지교 와 같은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어. 진정한 친구란 바로 관포지교 처럼 서로를 믿어주는 관계를 말한다. 한자: 管...

죽마고우 (竹馬故友)

이미지
竹 대 죽 馬 말 마 故 옛 고 友 벗 우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옛 친구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아주 친한 친구 를 의미해요. ··· ··· 竹馬故友 죽마고우 대나무 말을 타고 놀던 옛 친구 풀이 '죽마(竹馬)'는 대나무로 만든 말을 뜻해요. 옛날 아이들은 장난감으로 대나무 막대를 말처럼 타고 놀았어요. '고우(故友)'는 오랜 친구라는 뜻이고요. 즉, 어릴 적에 대나무 말을 함께 타고 놀았던 친구라는 의미로, 아주 오랫동안 모든 것을 터놓고 지내는 소중한 친구를 가리키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 진나라에 환온과 은호라는 사람이 있었어요. 그들은 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아주 친한 친구였죠. 하지만 어른이 되어서는 서로 다른 정치적 입장 때문에 사이가 멀어졌어요. 어느 날, 권력을 잡은 환온이 은호를 시기하여 그를 먼 곳으로 귀양 보냈어요. 그러고도 마음이 안 풀린 환온은 은호를 더욱 창피하게 만들고 싶었어요. 그는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은호가 어릴 때 타고 놀던 낡은 대나무 말을 보여주며 "이게 네가 타던 대나무 말이다!"라고 놀렸죠. 하지만 은호는 그것을 보고 옛 친구와 함께했던 즐거운 추억이 떠올라 눈물을 흘렸다고 해요. 이 이야기에서 '죽마고우'는 어릴 적 순수한 우정을 상징하는 말이 되었답니다. 메모: 어른이 되어 다투더라도 어릴 적 추억을 함께한 친구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물이에요. 예문 나와 민준이는 유치원 때부터 함께한 죽마고우 라서 비밀이 없어. 할아버지께서는 명절마다 죽마고우 분들을 만나러 고향에 가신다. 우리는 서로를 가장 잘 아는 죽마고우 같은 사이이다. 한자: 竹(대 죽) 馬(말 마) 故(옛 고) 友(벗 우) 주제: 우정 · 친구 출처/참고: 국어사전, 진서(晉書)

결초보은 (結草報恩)

이미지
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 恩 은혜 은 누군가에게 받은 고마운 마음을 절대 잊지 않고, 풀을 묶어서라도 그 은혜를 꼭 갚겠다 는 뜻이에요. ··· 結草報恩 결초보은 풀을 엮어 은혜를 갚다 풀이 다른 사람에게 받은 은혜나 도움을 죽어서도 잊지 않고 갚는다는 의미예요. 큰 고마움을 받은 것에 대해 표현할 때 쓰는 말이지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에 '위과'라는 장군이 살았어요. 위과의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내가 아끼던 여자를 좋은 곳으로 시집 보내주렴'하고 부탁했어요. 위과는 아버지의 말을 잊지 않고 지켰답니다. 나중에 위과가 전쟁터에서 위험에 빠졌을 때, 갑자기 풀을 엮어 적을 넘어뜨려준 사람이 있었어요. 알고 보니 그 사람은 바로 위과의 아버지였어요! 아버지가 살아있을 때 아들의 착한 행동에 감동해, 죽어서 귀신이 되어서라도 은혜를 갚아주었던 것이죠. 메모: 작은 도움이라도 잊지 않고 고마운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문 선생님께서 어려울 때 도와주신 은혜는 결초보은 하겠습니다. 친구가 나의 숙제를 도와준 것에 결초보은 하는 마음으로 나중에 꼭 갚아줄게. 위기에 빠진 나를 구해준 소방관 아저씨에게 결초보은 의 마음으로 감사함을 전했다. 한자: 結(맺을 결) 草(풀 초) 報(갚을 보) 恩(은혜 은) 주제: 감사 · 보은 출처/참고: 국어사전, 한자...

일석이조 (一石二鳥)

이미지
一 한 일 石 돌 석 二 두 이 鳥 새 조 방 청소를 했더니 방이 깨끗해지고 잃어버렸던 장난감도 찾은 것처럼, 한 가지 일을 해서 두 가지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 는 뜻이에요. ··· 一石二鳥 일석이조 돌 하나로 새 두 마리를 잡다 풀이 하나의 행동으로 동시에 두 가지 이득을 얻는 아주 효율적인 상황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배경/유래 이 말은 원래 영어 속담인 '돌멩이 하나로 두 마리 새를 잡는다(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에서 유래했어요. 옛날 어떤 사람이 돌멩이 하나를 던졌는데, 운 좋게도 날아가던 새 두 마리를 동시에 맞혀 잡았다는 상황에서 만들어진 말이죠. 적은 노력으로 기대 이상의 큰 효과를 보았을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아주 널리 쓰이게 되었답니다. 어떤 일을 할 때 조금만 더 지혜롭게 생각하면 한 번에 여러 가지 좋은 일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어요. 비슷한 말로 '일거양득(一舉兩得)'이 있어요. 메모: 어떤 일을 하기 전에 어떻게 하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습관을 가지면 좋아요. 예문 심부름으로 마트에 걸어갔더니 엄마도 돕고 운동도 되니 일석이조 였다. 동생에게 책을 읽어주니 동생도 즐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