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한자 공부인 게시물 표시

'풍수지탄'의 슬픈 뜻, 부모님 계실 때 잘해야 하는 이유 (초등 사자성어, 효도)

이미지
風 바람 풍 樹 나무 수 之 갈 지 嘆 탄식할 탄 '바람과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부모님께서 돌아가신 뒤에 효도를 다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고 슬퍼하는 마음 을 의미해요. ··· ··· 風樹之嘆 풍수지탄 부모님께 효도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 풀이 부모님께 효도하고 싶지만, 마음먹었을 때는 이미 부모님께서 곁에 안 계셔서 더 이상 효도할 수 없는 슬픔을 나타내는 말이에요. '나무는 조용히 서 있고 싶지만 바람이 계속 불고, 자식은 부모님을 모시고 싶지만 부모님은 기다려 주시지 않는다'는 깊은 뜻을 담고 있답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의 공자가 길을 가다가 슬피 우는 한 남자를 만났어요. 남자의 이름은 고어로, 그는 "제가 젊었을 때 공부를 위해 여러 나라를 떠돌아다니다 고향에 돌아와 보니 부모님께서는 이미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이제 와서 효도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으니 너무나 슬픕니다."라고 말하며 눈물을 흘렸어요. 나무가 가만히 있고 싶어도 바람 때문에 흔들리는 것처럼, 자식이 효도할 때를 놓치면 부모님은 기다려주시지 않는다는 그의 후회 섞인 말에서 '풍수지탄'이라는 사자성어가 유래되었답니다. 메모: 부모님이 곁에 계실 때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자주 표현하는 것이 가장 큰 효도라는 교훈을 줘요. 예문 할아버지께서는 돌아가신 증조할머니 사진을 보시며 풍수지탄 의 슬픔에 잠기셨다. 명절에 홀로 고향집을 찾은 아들은 뒤늦게 풍수지탄 하며 눈물을 흘렸다. 어른들께서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있을 때 잘해라"라고 하시는 건 풍수지탄 하지 말라는 뜻이다. 한자: 風(바람 풍) 樹(나무 수) 之(갈 지) 嘆(탄식할 탄) 주제: 효도 · 슬픔 · 후회 출처/참고: 국어사전, 예기(禮記)

정신없이 바쁠 때 쓰는 사자성어? '동분서주' 뜻과 유래, 예문 알아보기 (초등 국어)

이미지
東 동녘 동 奔 달릴 분 西 서녘 서 走 달릴 주 동쪽으로 달리고 서쪽으로 달린다는 뜻으로, 어떤 일 때문에 사방으로 아주 바쁘게 돌아다니는 것 을 의미해요. ··· ··· 東奔西走 동분서주 동쪽으로 서쪽으로 바쁘게 다니다 풀이 혹시 부모님께서 여러분을 위해 아침부터 밤까지 바쁘게 움직이시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동분서주'는 바로 그럴 때 쓰는 말이에요. 목표를 이루기 위해 동쪽, 서쪽 할 것 없이 사방으로 정신없이 돌아다니며 애쓰는 모습을 표현하는 사자성어랍니다. 배경/유래 '동분서주'는 특별한 한 인물의 이야기에서 유래하기보다는, 한자의 뜻이 모여 만들어진 사자성어예요. '동녘 동(東)', '달릴 분(奔)', '서녘 서(西)', '달릴 주(走)' 자가 합쳐져 '동쪽으로 뛰고 서쪽으로 뛴다'는 의미가 되었죠. 옛날에는 지금처럼 편리한 교통수단이 없어서, 중요한 일을 처리하려면 직접 발로 뛰어다녀야 했어요. 그래서 급한 일이 생기면 해가 뜨는 동쪽부터 해가 지는 서쪽까지, 온종일 쉴 틈 없이 뛰어다녀야 했답니다. 이처럼 땀 흘리며 바쁘게 노력하는 모습을 잘 보여주는 말이에요. 메모: 단순히 바쁜 것을 넘어, 뚜렷한 목표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강조할 때 사용해요. 예문 아버지는 가족의 생계를 위해 밤낮없이 동분서주 하신다. 기자는 특종을 잡기 위해 사건 현장을 동분서주 하며 뛰어다녔다. 나는 학예회 준비를 위해 소품을 구하러 하루 종일 동분서주 했다. 한자: 東(동녘 동) 奔(달릴 분) 西(서녘 서) 走(달릴 주) 주제: 노력 · 바쁨 출처/참고: 국어사전, 한자사전

사람이 너무 많을 때 쓰는 말? '인산인해' 뜻, 유래, 예문 쉽게 배워요! (초등 사자성어)

이미지
人 사람 인 山 뫼 산 人 사람 인 海 바다 해 사람들이 산을 이루고, 또 바다를 이룬다는 뜻으로, 수많은 사람이 빽빽하게 모여 있는 모습 을 말해요. ··· ··· 人山人海 인산인해 사람의 산과 사람의 바다 풀이 유명한 축제나 콘서트장에 갔을 때,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발 디딜 틈도 없었던 경험이 있나요? '인산인해'는 바로 그럴 때 쓰는 말이에요. 사람들이 마치 커다란 산처럼, 그리고 넓은 바다처럼 끝도 없이 많이 모여 있는 모습을 표현하는 사자성어랍니다. 배경/유래 '인산인해'라는 말은 옛날 중국의 한 책에서 유래되었어요. 책 속에서 어떤 장소의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을 묘사하면서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들고, 모인 사람들은 산과 바다를 이루었다"라고 표현한 구절이 있었죠. 이 표현이 아주 실감 나서 오늘날까지도 수많은 군중을 나타내는 말로 널리 쓰이게 되었답니다. 마치 놀이공원의 주말 풍경이나 새해 첫날 해돋이를 보러 온 사람들처럼, 셀 수 없이 많은 사람이 모여 웅성거리는 장면을 상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메모: '인산인해'는 주로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상황에서 많은 군중을 묘사할 때 사용돼요. 예문 축제 마지막 날, 광장은 불꽃놀이를 보려는 사람들로 인산인해 를 이루었다. K팝 가수의 공항 입국 소식에 팬들이 몰려들어 인산인해 가 되었다. 명절을 앞둔 전통 시장은 언제나 손님들로 인산인해 다. 한자: 人(사람 인) 山(뫼 산) 人(사람 인) 海(바다 해) 주제: 상황 · 모습 출처/참고: 국어사전, 한자사전

결초보은 (結草報恩)

이미지
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 恩 은혜 은 누군가에게 받은 고마운 마음을 절대 잊지 않고, 풀을 묶어서라도 그 은혜를 꼭 갚겠다 는 뜻이에요. ··· 結草報恩 결초보은 풀을 엮어 은혜를 갚다 풀이 다른 사람에게 받은 은혜나 도움을 죽어서도 잊지 않고 갚는다는 의미예요. 큰 고마움을 받은 것에 대해 표현할 때 쓰는 말이지요. 배경/유래 옛날 중국에 '위과'라는 장군이 살았어요. 위과의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내가 아끼던 여자를 좋은 곳으로 시집 보내주렴'하고 부탁했어요. 위과는 아버지의 말을 잊지 않고 지켰답니다. 나중에 위과가 전쟁터에서 위험에 빠졌을 때, 갑자기 풀을 엮어 적을 넘어뜨려준 사람이 있었어요. 알고 보니 그 사람은 바로 위과의 아버지였어요! 아버지가 살아있을 때 아들의 착한 행동에 감동해, 죽어서 귀신이 되어서라도 은혜를 갚아주었던 것이죠. 메모: 작은 도움이라도 잊지 않고 고마운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문 선생님께서 어려울 때 도와주신 은혜는 결초보은 하겠습니다. 친구가 나의 숙제를 도와준 것에 결초보은 하는 마음으로 나중에 꼭 갚아줄게. 위기에 빠진 나를 구해준 소방관 아저씨에게 결초보은 의 마음으로 감사함을 전했다. 한자: 結(맺을 결) 草(풀 초) 報(갚을 보) 恩(은혜 은) 주제: 감사 · 보은 출처/참고: 국어사전, 한자...

작심삼일 (作心三日)

이미지
                    作         지을 작                     心         마음 심                     三         석 삼                     日         날 일               새해에 일기 쓰기를 결심했지만 3일 만에 그만두는 것처럼, 굳게 먹은 마음이 3일을 가지 못하고 금방 흐지부지된다 는 뜻이에요.     ··· 作心三日 작심삼일 마음먹은 지 사흘이 못 간다 풀이 어떤 일을 하기로 굳게 결심했지만, 그 결심이 오래가지 못하고 며칠 만에 그만두게 되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에요. 우리의 의지가 약해지기 쉽다는 것을 보여주는 표현이랍니다. 배경/유래 '작심삼일'이라는 말은 중국의 옛날이야기에서 나온 말은 아니에요. 옛날 우리나라 고려 시대에 나라의 정책이나 법이 자주 바뀌어서 "고려의 정책은 3일밖에 못 간다"는 말이 있었다고 해요. 여기서 유래하여 사람들이 무언가를 결심해도 3일을 넘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작심삼일'이라는 말을 쓰게 되었답니다.       새로운 목표를 세우는 것은 멋진 일이지만, 그것을 꾸준히 지켜나가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지요. '작심삼일'이라는 말을 기억하면서, 우리가 세운 계획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노력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해요. 3일마다 새로운 결심을 하면 결국 계속 나아갈 수 있겠죠? 메모: '작심삼일'이 되더라도 실망하지 말고,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고 도전하는 용기가 중요해요! ...

일석이조 (一石二鳥)

이미지
一 한 일 石 돌 석 二 두 이 鳥 새 조 방 청소를 했더니 방이 깨끗해지고 잃어버렸던 장난감도 찾은 것처럼, 한 가지 일을 해서 두 가지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 는 뜻이에요. ··· 一石二鳥 일석이조 돌 하나로 새 두 마리를 잡다 풀이 하나의 행동으로 동시에 두 가지 이득을 얻는 아주 효율적인 상황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배경/유래 이 말은 원래 영어 속담인 '돌멩이 하나로 두 마리 새를 잡는다(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에서 유래했어요. 옛날 어떤 사람이 돌멩이 하나를 던졌는데, 운 좋게도 날아가던 새 두 마리를 동시에 맞혀 잡았다는 상황에서 만들어진 말이죠. 적은 노력으로 기대 이상의 큰 효과를 보았을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아주 널리 쓰이게 되었답니다. 어떤 일을 할 때 조금만 더 지혜롭게 생각하면 한 번에 여러 가지 좋은 일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어요. 비슷한 말로 '일거양득(一舉兩得)'이 있어요. 메모: 어떤 일을 하기 전에 어떻게 하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습관을 가지면 좋아요. 예문 심부름으로 마트에 걸어갔더니 엄마도 돕고 운동도 되니 일석이조 였다. 동생에게 책을 읽어주니 동생도 즐거...

맥수지탄 (麥秀之嘆)

이미지
麥 보리 맥 秀 팰 수 之 갈 지 嘆 탄식할 탄 나라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무성하게 자란 보리밭을 보며 탄식한다는 뜻으로, 옛날의 화려했던 곳이 사라진 것을 보고 슬퍼하는 마음 을 말해요. ··· 麥秀之嘆 맥수지탄 보리가 자란 것을 보고 탄식하다 풀이 예전에 아주 멋지고 중요했던 장소가 없어지고, 그 흔적조차 찾기 힘들 때 느끼는 아쉬움과 슬픔을 표현하는 말이에요. 모든 것은 변한다는 사실을 알려주죠. 배경/유래 옛날 중국에 은나라라는 큰 나라가 망하고 새로운 나라가 세워졌어요. 은나라의 신하였던 '기자'라는 사람이 옛 수도를 지나가게 되었죠. 화려하고 웅장했던 궁궐은 온데간데없고, 그 자리에는 보리만 무성하게 자라고 있었어요. 이 모습을 본 기자는 너무 슬퍼서 눈물을 흘리며 노래를 불렀다고 해요. "보리 이삭은 무럭무럭 자라나고, 벼와 기장 잎은 푸르구나..." 이 노래에는 나라를 잃은 큰 슬픔이 담겨 있었어요. 여기서 '맥수지탄'이라는 말이 유래했답니다. 메모: 소중했던 장소나 물건이 사라졌을 때의 슬픔을 표현할 수 있어요. 예문 어릴 적 뛰어놀던 놀이터가 사라지고 아파트가 들어선 것을 보니 맥수지탄 의 심정이었다. 할아버지께서는 옛날 사진을 보시며 맥수지탄 에 잠기셨다. 자주 가던 문방구가 없어진 것을 보고 친구와 함께 맥수지탄 을 나누었다. 한자:...

용두사미 (龍頭蛇尾)

이미지
龍 용 룡 頭 머리 두 蛇 뱀 사 尾 꼬리 미 어떤 일을 시작할 때는 '용'의 머리처럼 멋지고 대단했는데, 끝에 가서는 '뱀'의 꼬리처럼 약하고 보잘것없어지는 것 을 말해요. ··· 龍頭蛇尾 용두사미 용의 머리에 뱀의 꼬리 풀이 시작은 아주 거창하고 멋있게 했지만, 마무리가 좋지 않거나 결과가 별로일 때 사용하는 말이에요. 무슨 일이든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주죠. 배경/유래 옛날 중국에 글을 아주 잘 쓰는 스님이 있었어요. 스님이 쓴 글은 시작 부분이 마치 용이 하늘로 솟아오르는 것처럼 힘차고 멋졌다고 해요. 하지만 아쉽게도 글의 뒷부분으로 갈수록 힘이 빠져 뱀 꼬리처럼 흐지부지 끝나는 경우가 많았대요. 사람들은 이 모습을 보고 "시작은 용의 머리 같은데, 끝은 뱀의 꼬리 같구나!"라고 말하기 시작했어요. 여기서 '용두사미'라는 말이 생겨나, 시작만 좋고 끝이 안 좋은 모든 상황에 쓰이게 되었답니다. 메모: 큰 계획을 세우는 것도 좋지만, 끝까지 잘 마무리하는 습관이 더 중요해요! 예문 그림을 그리기 시작할 땐 멋진 작품이 될 것 같았는데, 용두사미 로 끝나버렸다. 큰소리치며 시작한 청소가 용두사미 가 되지 않도록 방 구석구석을 깨끗이 했다. 우리 팀의 발표는 시작은 거창했지만 마무리가 부족해 용두사미 라는 평가...

우공이산 (愚公移山)

이미지
愚 어리석을 우 公 늙은이 공 移 옮길 이 山 메 산 다른 사람들이 보기엔 어리석어 보여도, 어떤 큰일이든 꾸준히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다 는 뜻이에요. ··· 愚公移山 우공이산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기다 풀이 남들이 보기에는 불가능해 보이는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결국에는 성공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소중한 말이에요. 배경/유래 아주 먼 옛날, '우공'이라는 할아버지가 살았어요. 집 앞을 가로막은 커다란 산 두 개 때문에 마을 사람들이 멀리 돌아다녀야 하는 게 너무 불편했죠. 그래서 우공 할아버지는 가족들과 함께 산을 옮기기로 결심했어요! ⛏️ 마을 사람들은 "그 큰 산을 어떻게 옮겨요?"라며 할아버지를 비웃었지만, 우공 할아버지는 웃으며 말했어요. "내가 다 못하면 내 아들이 하고, 아들이 못하면 손자가 계속하면 언젠가는 산이 옮겨지지 않겠는가?" 이 마음에 하늘의 신이 감동해서, 커다란 산들을 번쩍 들어 다른 곳으로 옮겨주었다는 이야기랍니다. ✨ 메모: 아무리 어려운 목표라도 매일 조금씩 꾸준히 해나가는 것이 중요해요! 예문 매일 한 페이지씩 책을 읽는 것은 우공이산 의 마음으로 지식을 쌓는 일이다. 처음엔 막막했지만 우공이산 의 정신으로 노력하니 결국 로봇을 완성할 수 있었다. 어려운 수학 문제를 포기하고 싶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