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사자성어] 학수고대(鶴首苦待), 목 빠지게 기다린다는 말을 한자로? (초등 눈높이 설명)
 
           鶴  학 학    首  머리 수    苦  쓸 고    待  기다릴 대    학이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리는 것처럼, 애타게 누군가나 무언가를 기다린다 는 뜻이에요.   ···         ···     鶴首苦待  학수고대   학의 목처럼 길게 빼고 기다림    풀이  동물원에 가 본 적 있나요? 학은 목이 아주 길쭉한 새예요. '학수(鶴首)'는 '학의 목'이라는 뜻이고, '고대(苦待)'는 애타게 기다린다는 뜻이랍니다. 그래서 '학수고대'라고 하면, 마치 학이 목을 길게 빼고 먼 곳을 바라보며 무언가를 기다리는 것처럼 아주 간절하게 기다리는 마음을 표현하는 말이랍니다.    배경/유래  옛날 중국 진나라 때의 일이에요. 도연명이라는 유명한 시인이 있었는데, 그의 친구가 멀리 다른 지역의 책임자가 되어 떠나게 되었어요. 친구가 떠난 후, 도연명은 그 친구를 너무나 그리워하며 날마다 친구가 있는 쪽을 바라보았어요. "학처럼 목을 길게 빼고 돌아올 친구를 기다리네"라는 시를 지어 친구를 향한 그리움을 표현했답니다. 이 이야기에서 '학수고대'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되었어요.  여름휴가를 기다리거나, 생일 선물을 기다릴 때, 또는 멀리 계신 할머니, 할아버지를 만날 날을 기다릴 때처럼 설레고 애타는 마음을 '학수고대'라는 말로 멋지게 표현해 볼 수 있겠죠?  메모: 간절히 기다리는 대상이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큰 기쁨과 설렘을 준답니다.   예문   나는 해외에 계신 부모님이 오실 날을 학수고대 하며 달력에 표시했다.   아이들은 크리스마스 아침에 산타 할아버지의 선물을 학수고대 했다.   우리는 모두가 함께 떠날 소풍날을 학수고대 하고 있다.    한자: 鶴(학 학) 首(머리 수) 苦(쓸 고) 待(기다릴 대)  주제: 기다림 · 그리움   출처/참고: 국어사전, 시문이야기          
 
 
 
 
 
 
 
 
 
 
 
 
 
 
 
 
 
 
